오는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9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연 2.25%)에서 동결될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그러나 한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진입 논란이 일고 있는데다 2분기 경제성장률까지 부진하게 나오자 10∼11월 중 금리가 한 차례 더 인하될 수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을 내놓고 있다.
◇ 경제 심리 '일단 지켜보자'
시장 전문가들은 "지난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 추가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축소됐다"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어 추가 인하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켜보겠다'는 말을 여러 번 했다.
눈에 띄는 경제지표 둔화보다는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린 만큼 심리가 어떻게 바뀔지, 가계부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보겠다는 것이다. 지난 2001년 IT버블 붕괴 시기, 2008년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고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달아 내렸던 적은 없다.
이에 시장 전문가들은 대체로 이달 기준금리가 움직이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투자협회가 채권 전문가 113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96.5%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지난달 금통위 이후 국내 경제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한은이 금리 인하의 주요 배경으로 언급한 심리는 아직 불안한 편이다. 8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7로 한 달 새 2포인트 상승했지만, 세월호 사고 이전인 4월의 108까지는 회복하지 못했다. 제조업 체감경기는 세월호 사고 이후 넉 달 연속 악화했다. 8월 제조업의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2로 1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었다.
권구훈 골드만삭스 한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정부가 내놓은 경기부양책을 시행할 수 있을지가 국회의 법 통과에 달려 있는 등 여러 가지 변수가 많다"면서 "한은이 이번 달 금리를 동결하고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분석했다.
◇ 10∼11월 추가 금리인하 전망
이번 달에는 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하지만, 한은이 올해 안에 금리를 한 차례 더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금통위의 주요 참고지표 가운데 하나인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부진한 데다 저물가 기조가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이 지난 4일 발표한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잠정치)은 0.5%로 7분기 만에 가장 낮았다. 7월 말 발표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낮고, 최초 전망치보다는 0.2%포인트 낮다. 이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이 연간 3.8%일 것이라는 한은의 전망이 또 한 번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이 10월 수정 경제전망때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 전망치를 낮추고, 11월에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것"이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