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탓 이라크산 원유 수입 작년 절반 수준
이라크 내전이 격화되면서 지난 7월 이라크산 원유 도입량이 지난해 대비 절반수준으로 대폭 감소했다.
한국석유공사가 18일 발표한 '주요 국가별 원유 수입' 자료를 보면 7월 이라크산 원유 도입량은 536만9000 배럴로 지난해 7월(899만3000 배럴)보다 40.3% 급감했다. 올해 6월의 623만8000 배럴과 비교해도 13.9% 줄었다.
대신 부족한 수요는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 분산됐다. 7월 카타르산 도입량은 1035만9000 배럴로 지난해 7월(660만 배럴)보다 57.0% 늘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카타르산 수입량은 사우디·쿠웨이트·UAE·이라크에 이어 5위에 그쳤지만 올해 3위로 올라섰다.
최대 원유 수입국인 사우디산 도입량도 2515만1000 배럴로 지난해보다 10.1% 늘었다.
이라크 내전에도 중동산 원유(두바이유) 가격 하락세는 계속 이어져 국내 석유제품 가격이 올라가지는 않을 전망이다. 국내 도입 원유의 약 80%를 차지하는 두바이유는 16일 배럴당 94.94달러로 올해 최저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연내 유가가 더 떨어지지 않더라도 올해 최저가는 이미 지난해 최저가인 배럴당 96.71달러보다 약 2달러 내려간 셈이다.
미국 케임브리지에너지연구소(CERA)는 두바이유 평균 가격이 지난해 105.56달러에서 올해 103.91달러로, 내년에는 101.71달러로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한국석유공사는 "달러화 강세에 따라 상대적으로 두바이유 가격이 떨어졌고, 미국이 셰일오일 등 비전통오일 부문에서 원유 생산을 확대해 재고가 늘어난 것도 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