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상처로 얼룩진채 4개월만에 막내린 KB사태 향후 과제는?



4개월간 이어진 'KB 사태'가 임영록 지주 회장과 이건호 은행장의 퇴진으로 막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KB 내분 당사자들은 조직과 고객을 외면한 채 끊임없이 대립했다. 결국 승자는 없고, 패자와 상처만 남았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 사외이사진은 지난 17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임 회장에 대한 해임을 의결했다. 이는 금융당국이 "KB금융지주 이사회의 책임 있는 판단을 기대한다"며 이사회에 임 회장의 퇴진을 압박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사회 결정에 따라 임 회장은 이날부로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이사회의 정식 의결 절차를 거친 결정이기 때문에 금융당국의 3개월 직무정지 결정과는 별도로 대표이사직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임 회장 측은 결백을 주장하며 소송을 통해 명예회복을 구하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임 회장은 전날 법원에 제출한 금융위 직무정지 처분에 대한 취소소송 소장에서 "법적 절차를 통해 그동안 왜곡된 진실이 명명백백히 밝혀져서 KB금융 직원들의 범죄에 준하는 행위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KB금융그룹과 본인의 명예가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사회의 해임 결정에 대해서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및 해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공산이 크다.

◇ "신뢰 회복·경쟁력 제고 힘써야"

임 회장의 소송전은 남아있지만, KB금융의 경영 혼란은 점차 안정 국면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선임 절차에 들어가는 차기 수장은 당국과 화해하고 고객 신뢰를 회복하는 과제를 떠안게 됐다. KB금융지주 이사회는 19일 열리는 임시 이사회에서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차기 회장 선임 논의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차기 회장 선임은 사외이사 9명 전원으로 이뤄지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가 맡는다. 최고경영자(CE0) 승계 프로그램에 따라 KB금융 계열사 상무 이상 임원들이 자격을 갖는 내부 후보들과 헤드헌팅 업체 등이 추천하는 외부 후보들을 대상으로 서면평가, 평판조회, 심층면접 등을 거치게 된다.

차기 회장으로 전·현직 KB금융 고위직을 중심으로 후보 하마평에 오르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현직 중에선 KB금융 회장 직무대행을 맡은 윤웅원 부사장(54)과 국민은행장 직무대행인 박지우 부행장(57)을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다. 이들은 현재 KB의 비상경영 체제를 이끌고 있다. 다만 윤 부사장은 임 회장 밑에서 일했다는 점이, 박 부행장은 애초 중징계 대상이었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KB 출신으로는 윤종규 전 지주 부사장(59)을 비롯해 김옥찬 전 국민은행 부행장(58), 김기홍 전 부행장(57), 최범수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대표(58) 등이 후보군에 꼽힌다.

낙하산 인사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지만, 정부에서 정권 창출에 기여한 금융인이나 전직 관료를 KB금융 회장으로 밀어붙일 가능성도 있다.

금융인 출신 후보로는 이동걸(66) 전 신한금융투자 부회장, 우리은행장 출신인 이종휘(65) 미소금융재단 이사장 조준희(60) 전 기업은행장 등이 거론된다. 오갑수(66)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 등 신망이 두터운 관료 출신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특히 차기 수장은 LIG손해보험 인수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라도 당국과 원만한 관계 회복에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KB금융은 LIG손보를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신청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했다. 승인 여부는 조만간 금융위 회의에서 결론이 날 전망이다.

고객 신뢰를 회복하는 일 역시 급선무다. 도쿄지점 부실대출, 국민카드 고객정보 유출, 국민주택채권 횡령 등에 이어 임 회장과 이 행장의 극심한 갈등이 빚어지자 고객들의 KB금융에 대한 신뢰는 땅에 떨어질 대로 떨어진 상태다. 또 KB금융의 '리딩뱅크' 위상을 회복하는 것도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한편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정찬우 금융위 부위원장의 주재로 제2차 '긴급 금융합동점검회의'열고, KB금융과 관련한 주요 현안을 점검·논의했다. 금융당국은 KB지주의 경영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안정되고, 정상화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