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내년 예산안으로 올해보다 230억원(12%) 증액된 2193억원을 책정하고, 이를 23일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내년 예산안 편성에 있어서 ▲방송·통신 서비스 이용자의 권익 보호 ▲방송 인프라 확충 및 고품격 방송 콘텐츠 제작 지원 강화 ▲누구나 방송에 접근하고 방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재난 대응 강화 등에 중점을 뒀다.
우선 방통위는 방송통신 이용자 권익보호 강화를 위해 올해 대비 20% 증액된 24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는 기업들의 개인정보 실태 점검 및 불법 유통을 막는데 110억원, 신유형 스팸 차단 시스템 개발 등에 30억원, 통신 시장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에 32억원, 사이버 폭력 예방 및 피해자 지원활동에 6억원 등이 지원될 계획이다.
방송의 공익적 가치 실현을 위해 KBS·EBS 등에 대한 방송 인프라 확충 및 고품격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지원도 강화된다. 이에 따라 KBS 사회교육 방송 및 대외방송 제작지원에 170억원, EBS 방송 인프라 개선을 위한 HD제작 장비 확충, 디지털 통합 사옥 건립, 유아·어린이·청소년·안전 관련 프로그램 제작 등에 390억원, 아리랑 국제방송, 영어FM, 국악방송에 총 358억원이 지원된다. 이밖에 지역·중소 방송이 우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23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시청자의 차별없는 방송 접근과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장애인 방송 수신기 보급 및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에 94억원, 5개 시청자 미디어센터(부산·광주·대전·강원·인천)의 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에 107억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유망 중소기업의 방송광고 제작비를 지원하는데 20억원이 새로 편성됐다.
방통위는 이밖에 신속한 방송 전파를 통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재난 주관방송사인 KBS의 재난방송 스튜디오를 고도화 등을 위해 25억원, 터널·지하공간에서도 라디오·DMB를 통해 재난방송을 끊김없이 수신할 수 있도록 중계시설 구축을 지원하는데 9억원을 투입한다.
한편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방통위 2015년도 예산안은 국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