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가 한 해 동안 인건비로 무려 200억원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임영록 전 회장과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의 극심한 갈등으로 금융당국의 대규모 징계를 불러온 KB금융지주의 경우 지난해 임원 보수 31억원, 직원 급여 164억원 등 인건비로 총 195억원을 사용했다. 이는 임 전 회장과 어윤대 전 회장에게 부여된 3만주 가까운 성과연동주식을 제외한 수치다. 이를 합치면 KB금융의 인건비는 200억원을 넘어선다.
2008년 금융지주체제 출범 후 KB금융지주는 계속 커졌다. 출범 다음 해인 2009년 직원 수는 100명, 인건비는 121억원에 지나지 않았으나, 4년 만인 지난해에는 151명, 195억원으로 그 규모와 액수가 각각 50% 넘게 급증했다. 주력 계열사인 국민은행의 직원 수는 2009년말 2만5900여명에서 지난해 말 2만1700여명으로 4000명 넘게 줄어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다른 금융지주사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2001년 금융지주 체제를 출범시킨 신한지주는 지난해 임원 보수 20억원, 직원 급여 164억원 등 인건비로만 총 184억원을 썼다. 직원 수는 148명에 달한다. 한동우 회장이 받은 성과연동주식 한도 4만여주(연말 종가 기준 약 14억원)까지 포함하면 역시 200억원에 육박한다. 지주사 직원 수와 인건비는 2002년말 56명, 65억원에 지나지 않았던 것에 견줘 모두 세 배 가까이로 급증했다.
우리금융지주도 2012년 직원 수와 인건비가 각각 136명, 127억원까지 늘었지만, 민영화를 앞두고 지주체제를 폐지하기로 해 올해 들어 그 규모를 크게 줄였다.
2005년 출범한 하나금융지주의 지난해말 직원 수는 111명으로, 인건비로는 129억원을 지출했다. 여기에 김정태 회장과 최흥식 사장에 부여된 30억원의 성과연동주식(연말 종가 기준 김 회장 17억원, 최 사장 13억원) 한도가 오는 2016년 100% 지급된다고 가정하면 총 인건비는 159억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