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경상수지가 72억7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2년 6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 흑자는 72억7000만달러로, 7월의 78억4000만달러보다 5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흑자 폭이 줄어든 것은 휴가철 등 계절적 요인으로 여행수지와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지의 적자 규모가 확대됐고, 건설수지 또한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올해 누적 흑자는 사상 최대폭 흑자를 기록한 지난해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1∼8월 누적 흑자는 543억1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464억5000만달러)보다 78억6000만달러(16.9%) 많다.
8월 경상수지의 특징은 수입과 수출이 전월, 전년 동기와 비교해 모두 감소한 것이다. 특히 수입 감소폭이 수출보다 커 '내수 부진형' 경상수지 흑자 우려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8월 영업일수는 23.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하루 줄어 수출·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하루 평균으로 계산한 수출입액은 지난해 8월보다 더 많다"고 설명했다.
수출입에 따른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전월의 67억9000만달러에서 74억4000만달러로 확대됐다.
상품수지를 구성하는 수출은 490억1000만달러로 전월의 538억1000만달러보다 8.9% 감소했다. 지난해 8월(498억4000만달러)보다는 1.7% 줄었다.
품목별로 보면 가전제품(-23.0%), 승용차(-18.2%), 자동차부품(-6.6%) 위주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이 감소했다.
수입은 415억6000만달러로 전월의 470억2000만달러에서 11.6%, 지난해 동기의 424억6000만달러에선 2.1% 줄었다.
수송장비(-33.5%), 기계류·정밀기기(-17.2%), 가스(-10.7%) 수입이 감소했고 승용차(51.5%), 원유(19.4%), 정보통신기기(16.7%) 수입은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적자 규모가 7월 1000만달러에서 7억3000만달러로 증가했다.
여행수지 적자가 전월의 5억5000만달러에서 7억7000만달러로,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 적자는 2000만달러에서 3억8000만달러로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