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매각주관사가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 30%(2억288만3512주)를 일반 경쟁 입찰방식으로 매각한다는 30일 공고를 냈다.
매각 대상은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이 합병한 후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게 될 우리은행 지분 약 56.97% 가운데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지분 30%이다.
나머지 소수지분인 26.97%는 소수 지분 투자자를 대상으로 쪼개 팔 계획이다. 입찰 공고는 10월 하순에 나온다. 두 지분 매각 예비 입찰은 오는 11월 28일까지다.
2개 업체 이상이 참여해 유효경쟁이 성립돼야 입찰이 진행되며, 1개 업체만 입찰에 참여하면 입찰 자체가 무산된다.
정부는 유효경쟁이 성립되면 경영권 지분 매각은 12월 초 본 입찰을 진행해 내년 1월까지 최종입찰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우리금융그룹 민영화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는 우리은행 민영화가 이날 매각공고를 필두로 본격화됐다.
지금까지 교보생명 외에 경영권 매각에 참여할 만한 투자자가 드러나지 않고 있어 새 주인을 찾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교보생명도 단독 입찰시 무산을 우려해 신중한 입장이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시장에선 우리은행 민영화의 성공 여부를 '경영권+30%' 입찰의 흥행 여부로 보고 있다"면서 "이 입찰은 일반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돼 복수의 매수 희망자가 나서야 입찰이 성립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리은행 매각이 본격적으로 막이 오르지만 성공 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다.
경영권 지분 매각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해 유효경쟁이 성립돼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인수 의사를 밝힌 곳은 교보생명 정도다.
공자위가 지난 6월 우리은행 민영화 일정 발표 후 시장수요 조사 결과 인수 의사를 적극적으로 나타낸 곳은 없다는 전언이다.
앞서 공자위 관계자는 "매각공고가 나면 참여자들도 지분 매입을 본격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교보생명 측도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에 관심은 있지만,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