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중국 위안화 예금으로의 쏠림현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나섰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국내 자금이 중국 위안화 예금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기준 국내 거주자의 위안화 외화예금 잔액은 161억9000만달러로 1년전(2억9000만달러)보다 무려 56배나 급증했다.
전체 거주자 외화예금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말 0.4%, 지난해말 13.7%에서 올해 7월말 25.9%로 높아졌다.
위안화 예금은 국내 예금 금리가 3%를 밑돌면서 폭발적으로 늘었다. 공상·농업·중국·건설·교통 등 중국 5대 은행의 1년 정기예금 금리는 3.25%로 2% 초중반인 국내 시중은행의 평균금리를 압도한다. 여기에 위안화 강세까지 더해지면서 환차익을 노릴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부상했다.
게다가 위안화 예금은 단순 외화예금에서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등 구조화 상품이 등장하면서 매력을 더했다. 위안화 예금의 경우 대개 만기가 1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게 운용되는 ABCP로 단기자금이 모여든 것이다.
8월 한달간 위안화 예금 ABCP는 4조6000억원에 달한다. 금리가 인하된 이후에만 2조8000억원이 유입됐다.
금융감독원은 이에 따라 최근 위안화예금에 대해 위험요인이 없는지 다각적인 평가 작업을 벌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위안화 예금은 원화를 달러로 바꾸고 다시 위안화로 환전해 예금하는 형태인데 아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환전할 때 해지도 해놨기 때문에 해지수수료가 들어갈 뿐 위험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그러나 최근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홍콩사태 등 중국 경제를 둘러싼 변수들이 하나 둘 쌓이면서 긴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