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KT스카이라이프 "DCS 추진 갈등, 대화 통해 풀겠다"

이남기 KT스카이라이프 사장



"DCS(접시없는 위성방송) 신청서 접수는 현재 갈등 상황을 대화로 어느 정도 해결한 후 이뤄질 것이다."

KT스카이라이프가 최근 유료방송업계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DCS 추진과 관련 서두르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DCS와 합산규제법을 연결시키려는 것이 가장 문제라고 지적했다.

DCS는 위성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통신국사단에서 수신해 인터넷 망으로 가입자의 집까지 전송하는 방식이다. DCS를 통한 가입자는 개별 안테나 설치 없이도 인터넷 단자와 셋톱박스간 선 연결만으로 위성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를 두고 그동안 케이블업계를 비롯한 유료방송업계에선 DCS는 KT스카이라이프만을 위한 특혜라며 위법 요소가 존재한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이남기 KT스카이라이프 사장은 6일 기자들과 만나 "DCS는 특허 7개를 가진 신기술 결합 서비스"라며 "KT스카이라이프가 먼저 DCS를 도입하면 현재 별다른 성과를 보이고 있지 못하는 ICT진흥특별법이 확대, 확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무엇보다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인가에 중점을 두고 해당 사업을 바라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혁진 KT스카이라이프 정책협력실장도 "DCS 추진과 관련,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어서 정부와 KT와 함께 협의 중"이라며 "신청서 접수는 업계·정부와 일부 이견이 있어 대화를 통해 갈등을 일부 해소한 뒤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현재 갈등을 빚고 있는 케이블TV업계나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IPTV 사업자와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권 실장은 "그동안 막혀있던 남북 상황도 최근 북한 고위급 인사가 방한하며 물꼬가 트이지 않느냐. 사람이 하는 일인데 못할 게 무엇이 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화만 잘 풀리면 연내 신청서 접수도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KT스카이라이프는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HD수신기를 100% 무상 전환하고 본격적인 'All-HD 플랫폼' 사업자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가입자들은 기존 HD채널 104개에 신규 HD채널 13개, HD로 전환되는 SD채널 18개를 더해 총 135개 방송채널을 HD화질로 즐길 수 있게 됐다. 다음달 추가되는 2개 채널을 더하면 연내 총 141개의 채널을 볼 수 있다.

윤용필 콘텐츠운용본부장은 "KT스카이라이프는 채널의 양적인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스카이라이프만의 특화 채널을 선보일 것"이라며 "초고화질(UHD) 다채널 사업자로서의 입지도 더욱 확고히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