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송금서비스인 '뱅크월렛카카오' 출시가 다음달 초로 바짝 다가오면서 금융시장에 파장을 가져올지에 관심이 쏠린다.
뱅크월렛카카오는 기존 은행 계좌와 연계해 가상의 전자지갑에서 최대 50만원을 '뱅크머니'로 충전해 쓸 수 있는 서비스다.
카카오톡과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카톡 친구와의 채팅 중에 한 번에 최대 10만원까지 송금할 수 있는 것이 이 서비스의 핵심이다.
서비스 출시를 위해 금융결제원 주도로 국민·신한·우리를 비롯한 전국 15개 은행이 카카오와 손잡았다. 카카오가 연결 플랫폼을 담당하며 각종 금융 관련 서비스는 금융결제원과 은행이 맡는다.
뱅크월렛카카오는 인터넷뱅킹보다 송금 절차를 대폭 간소화한 점이 특징이다.
인터넷뱅킹을 통해 송금하려면 공인인증서 로그인부터 계좌 비밀번호 및 보안카드 입력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했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비밀번호 입력 후 1~2초면 송금 절차가 끝난다.
지금까지 출시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가입자 확보가 성공적인 서비스 안착의 걸림돌이 됐다면, 뱅크월렛카카오는 3700만명가량의 가입자를 확보해 둔 카톡에 기반하므로 이 같은 장애 요인이 없다.
또 이들 가입자로부터 파생되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필요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강점도 기대된다.
뱅크월렛카카오는 향후 가맹점을 모집해 간편결제 기능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밝혔다.
송금 수수료는 100원 안팎으로 기존 금융권에 비해 저렴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가입자 유치를 위해 서비스 초기에는 수수료가 무료로 운용될 가능성도 제기한다.
그러나 편의성만큼 보안에 대한 우려도 크다.
금융결제원과 카카오 측은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기술을 적용했다며 안전성을 자부한다. 하지만 휴대전화 분실 또는 해킹시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손쉽게 송금할 수 있는 점을 노려 인간적인 실수를 이용한 스미싱이나 피싱의 위험성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뱅크월렛카카오가 성공하려면 송금은 물론, 결제시장에서도 자리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임호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보기술·금융융합 촉진을 위한 간담회에서 "금융당국에서 뱅크월렛카카오를 확산하는 분위기를 잡아주면 앞으로 모바일 지급결제 서비스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