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가 대화에 응하지 않아 답답하지만, 대화 노력을 지속하겠다."
"진정성 있는 노사정 대화가 필요하다. 사측의 보여주기식 쇼윙(showing)은 진정한 대화제의로 볼 수 없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조기통합으로 촉발된 노사 양측의 갈등이 끝없는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
◆ '동상이몽' 대화…통합 둘러싸고 의견 갈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그룹은 이달 중 통합 승인 신청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외환은행 노조와의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지난 9일 하나·외환은행 직원들과 산책 후 기자들과 만나 "중국 하나·외환은행 통합 법인은 11월 중 출범할 것"이라며 "외환 노조와 대화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이달중 금융당국에 통합 승인 신청도 예정대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앞서 이달 중순께로 예정됐던 양 은행의 이사회가 두차례 연기됐음에도 통합 시너지를 낼 '골든타임'은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셈이다.
이에 반해 외환 노조측은 조기통합이 외환은행 독립경영을 5년간 보장하는 내용의 '2·17 합의서'에 위배되는 사안이라며 노동부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금융위원회에 중재를 요청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결국 '조기통합' 과제는 어느 한쪽이 핸들을 꺾지 않으면 멈추지 않을 '치킨게임'으로 변하고 있는 셈이다.
◆ 국감이 해결책 될까?
노사 갈등의 정점에는 사측의 무더기 징계가 걸려있다.
지난달 18일 외환은행이 정족수 미달로 무산된 임시조합원 총회 참석 관련 직원 898명을 징계심의키로 하면서 양측이 부르짖는 '대화'가 동상이몽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실제 외환은행 경영진과 노동조합은 지난달 24일과 26일, 두 차례에 걸쳐 협의회를 개최했지만 서로의 온도차만 확인한 채 마무리 됐다.
특히 두 번째 협의회가 끝난 직후 김한조 외환은행장은 "이번과 같은 소모적인 대화는 앞으로 하지 않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2·17 합의서에 대한 고용노동부와 로펌의 엇갈린 해석도 쟁점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합의 당시 금융위원장이 참석했기 때문에 구속력이 있는 노사정 합의라는 것이 노조측의 주장인 것.
한편 오는 15일과 16일 금융위와 금감원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가 잡혀 있어또다른 해결책을 모색할지 여부에 대해 금융권이 주목하고 있다.
지난 7일 심상정·이인영·김기준·박원석 의원 등 환노위와 정무위, 기재위 소속 국회의원 11명은 외환은행 불법부당 징계 중단 촉구서를 금융위원장, 고용노동부장관, 검찰총장에 전달했다.
이들 의원은 "외환은행 사측이 조기 통합이라는 이름으로 노사정 합의 사항을 위반하고 있다"며 "이는 사측의 명백한 탄압 행위로, 관계당국이 불법부당징계를 즉각 중단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이번 국감에 김한조 외환은행장을 증인으로 신청하는 등 양 행의 갈등 상황을 주요 쟁점으로 삼을 것이라고 시사하기도 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국감을 앞둔 상황에서 일부 야당 의원들이 두 은행의 통합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를 한 것은 은행측에 압박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며 "대화를 하겠다는 입장이 국감 이후에도 유지될지가 더 관건"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