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사람이야기]"제2의 김훈이 되고 싶어요"

임세혁 티브로드 서울보도국 기자

임세혁 티브로드 서울보도국 기자는 낮에는 기자로 밤에는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단순히 평생 글쟁이로 살겠다는 신념을 드러낸 그는 지난해 장편소설 '샛별클럽의 천사들'을 출간한데 이어 로맨스·추리 소설도 내년 출간하기 위해 집필중이다./사진=손진영 기자 son@



"정말 소설쓰는 기자가 돼 버렸네요."

케이블TV 방송사 티브로드에는 독특한 이력이 주인공이 있다. 회사나 출입처에선 기자로, 출판사에선 작가로 이중생활을 하는 임세혁씨.

그는 티브로드 서울보도국 소속 지역방송 기자로 활동하며 소설을 쓰고 있다. 낮에는 기사를 쓰고 밤에는 소설을 쓰는 이중생활을 하는 그를 주위 사람들도 독특한 눈길로 바라본다.

임세혁씨의 장편소설 '샛별클럽의 천사들'은 작가로써의 첫 작품이다. 지난해 세상에 처음 고개를 내민 이 책은 그의 서랍속에서 1년 만에 꺼내졌다.

"원래 꿈이 작가였다. 서울예대 문예창작과에서 극작가 공부를 하면서 이쪽 분야에서 일하고 싶었는데 생각처럼 되지 않더라. 예술분야에서 이름을 알리는 동기들의 소식이 하나 둘 들리면서 막상 나는 꿈과 멀어지는 느낌이 들었다."

임씨가 이번에 출간한 '샛별클럽의 천사들'은 꿈을 새롭게 붙잡기 위해 시작한 활동의 결과물이었다. 그동안 마음속으로만 가졌던 작가라는 꿈을 하루 하루 짧게 써내려간 소설을 지인들에게 보여주며 다시금 자신감을 갖게 됐다.

"취미생활로 매일 써가면서 지인들에게 보여주다보니 '재미있다'라는 이야기도 들리고 욕심도 나더라. 이렇게 조금씩 써내려가며 장편소설로 완성했고 서랍장에 고이 보관해 놓았었다."

이렇게 서랍장에 보관된 이 글이 세상에 나온 것은 출판사 공모전에서 비롯됐다. 그는 출판사 공모전에서 당당히 입상했고, '샛별클럽의 천사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게 됐다.

샛별클럽의 천사들은 임씨의 필력과 지역방송 기자 활동을 통한 경험이 더해져 완성된 작품이다. 실제 소설 속 배경이 된 성동구도, 주인공들의 이야기도 그의 취재 영역과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됐다.

임씨는 "지역방송 기자로 활동하다 보니 오히려 내가 맡은 지역의 소식을 속속들이 더 잘 알고, 보다 심도있는 정보를 빠르게 접할 수 있었다"며 "샛별클럽의 천사들 속 디테일한 내용들도 취재경험을 통해 보다 생생하게 구성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임세혁 티브로드 서울보도국 기자는 낮에는 기자로 밤에는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단순히 평생 글쟁이로 살겠다는 신념을 드러낸 그는 지난해 장편소설 '샛별클럽의 천사들'을 출간한데 이어 로맨스·추리 소설도 내년 출간하기 위해 집필중이다./사진=손진영 기자 son@



임씨는 현재 다음 작품도 준비 중이다. 다음 작품은 추리와 연애를 더한 내용이다. 로맨스를 좋아하는 여성과 추리물을 좋아하는 남성들의 심리를 더했다.

"항상 기자 활동으로 인해 시간이 부족하니 주말이면 회사에서 글을 씁니다. 토요일에는 밤 10시에 회사를 가서 다음날 해를 보고 나올 정도죠. 부족한 시간을 쪼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찾아 꿈을 위해 조금씩 투자하는 것이 미래에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것 같아요."

그는 롤모델로 소설가 김훈을 꼽았다. 한국일보 기자 출신인 소설가 김훈은 '남한산성' '칼의 노래' 등이 대중적 인기를 얻으며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임씨는 "김훈 선생님의 작품을 보면 쉽고 간결하게 쓰다보니 글에 힘이 있어요. 기자로써 이런 문장체를 지향하는 모습과 독자들에게 읽히겠금 쓰는 것이 맞물려 명작이 탄생한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사실 임씨는 방송작가 생활을 하다가 우연히 티브로드 지역방송 기자로 뛰어들게 됐다. 단순히 글을 쓰는게 좋았던 그는 기자도 글을 쓰는 직업이었기에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그의 생각과 달리 기자와 작가의 차이는 천차만별이었다.

"작가는 단순히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글로 풀어내는 것이라면 기자는 발로 쓰는 것이더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독자들에게 전했다. 처음엔 생각했던 것과 달라 그만둘 생각도 했지만 내 기사를 보고 반응하는 독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으며 새로운 기쁨을 얻었다."

다만 지역방송의 인식에 대한 안타까움도 토로했다. 그는 "지역방송을 흔히 지상파의 하위 개념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절대 그렇지 않다"며 "지역방송은 지상파가 못하는 일을 한다고 보면 된다. 항상 지역에 상주하며 세세한 소식을 다양한 형태로 전하기 때문에 새로운 뉴스 플랫폼으로 이해해달라"고 당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