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자사와 LG유플러스(U+)가 휴대전화 출고가를 60만원 이상 부풀렸다는 주장에 대해 13일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우상호 의원이 미래창조과학부 국정감사에서 이동통신사와 휴대전화 제조사가 결탁해 단말기 출고가를 부풀린 정황을 엿볼 수 있는 공정거래위원회 문건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 이같이 해명했다.
삼성전자는 "2010년 작성한 삼성전자 갤럭시U 내부 문건에 명기된 네트가(출고가에서 이통사 지원금을 뺀 가격)는 공장에서 출고될 당시의 가격이 아니다"라며 "네트가는 출고가(이통사가 대리점에 제품을 공급하는 가격)에서 이통사의 보조금과 유통망 장려금, 마진 등을 제외한 금액을 뜻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통사는 가입자 유치를 위해 소비자 지원금과 대리점 마진으로 구성된 보조금을 운영하며, 결국 네트가는 출고가에서 이통사의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일 뿐 공장에서 출고되는 가격으로 표현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해석"이라고 설명했다.
또 "네트가는 이통사의 보조금과 유통 장려금, 마진 등이 반영돼 시장에서 최저 얼마까지 판매될 수 있을지를 가격 시뮬레이션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표기한 것"이라며 "공장에서 출고되는 가격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부연했다.
삼성전자는 이어 "재료비·생산비·개발비 등을 고려하고 국가별, 통신사별 다양한 조건과 상황을 감안해 합리적으로 스마트폰 가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우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네트가 21만9200원에 대리점 마진 5만원을 더해 소비자가격을 25만9200원으로 책정하고 보조금을 합해 출고가를 91만3300만원으로 하자고 LG유플러스에 제안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네트가 18만7600원에 대리점 마진 5만원을 붙여 소비자가를 23만7600원으로 하고 출고가로는 89만1900원을 제시했다. 이 문건에 따르면 단말기 납품가와 출고가가 60만원 이상 차이나 논란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