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지수가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2010년 100기준)가 105.24로 지난해 같은 시점보다 0.4%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11월(105.12) 이후 가장 낮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하락세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CPI)에 대체로 선행한다.
품목군별로는 석탄·석유제품 생산자물가가 전월보다 2.2% 내려 하락폭이 가장 컸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값이 내리자 석탄·석유제품 물가는 지난 4월부터 6개월 연속 떨어졌다.
국제유가는 원유공급 과잉에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요가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더해져 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장중 한때 배럴당 80.01달러까지 떨어져 지난 6월의 연고점보다 25% 하락했다.
이에 따라 국내 휘발유와 경유 생산자물가도 1년 전과 비교해 13.5%씩 내렸다. 나프타와 등유는 각각 14.3%, 15.1% 하락했다.
농림수산품은 채소·과실(-2.1%), 축산물(-1.4%)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1.5% 내렸다. 오이(-36.5%), 시금치(-35.3%), 배(-26.0%), 호박(-24.7%) 등의 하락폭이 컸다.
서비스 물가도 0.1% 하락했다. 휴가철이 끝난 이후 국내항공여객(-9.6%), 국제항공여객(-9.4%), 호텔(-7.1%) 등의 생산자물가가 줄줄이 내린 데 따른 것이다.
지난달에는 제1차금속제품(0.2%)과 부동산(0.1%)을 제외한 모든 품목군의 생산자물가가 떨어졌다. 전기·가스·수도(0.0%) 물가는 움직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