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 20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5G 글로벌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LG유플러스 제공
"5G 시대 '엄청나게 증가한 연결성'과 '프로세싱의 복잡성'에 대응할 준비가 필요하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은 20일 부산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5G 글로벌 서밋'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5G 시대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빠른 스피드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와 결합된 정확한 센싱 능력, 인공지능과 빠른 처리속도를 갖춘 클라우드, 클라우드와 연결된 수많은 디바이스"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상철 부회장은 "앞으로 디바이스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2010년 전세계 디바이스 숫자가 40억에 달하고 2015년에는 200억, 2020년에는 1000억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통신 디바이스가 핸드셋, 홈 단말기 중심에서 안경, 시계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산되고 있다"며 "홈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카, 스마트시티, 로봇, 메디컬 등 융합 분야의 확대로 디바이스 증가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프로세싱의 복잡성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원인은 서비스의 인텔리전스화, 비디오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의 보편화 및 실시간화에서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30년간 컴퓨팅 파워는 100만배 정도 증가했다"며 "프로세싱 복잡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1000배 이상의 컴퓨팅 파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이 같은 두가지 변화 대응을 통해 ▲안전성 향상 ▲비용 절약 ▲시간 관리 ▲감성 케어 등 새로운 가치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부회장은 "5G 시대에는 나를 중심을 해 나를 이해하고 내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 어시스턴트 역할을 해주는 아바타, 로봇과 함께 세상과 실시간으로 연결될 것"이라며 "수많은 센서, 디바이스들이 연결되고 모든 서비스들은 클라우드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됨으로써 이른바 '클라우드 안에서의 삶'이 실현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아바타와 실시간으로 세상과 연결되는 가운데 내가 위치한 '나 중심의 세상'이 바로 5G의 세상"이라며 "LG유플러스는 고객 한명 한명의 생활이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이고 여유 있고 소통하는 새로운 생활 방식을 만들어가는 '새로운 삶의 창조자'로서 최선의 준비를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