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IMF "韓, 미국 금리인상 충격오면 亞국가 중 큰 타격"

아시아국가 중 한국이 미국 통화정책 급변에 따른 충격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국제통화기금(IMF)의 '2015년 아시아·태평양 경제전망'에 따르면 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으로 미국 경제성장률이 하락하고, 시장금리가 급등할 경우 한국 국내총생산(GDP)은 '쇼크' 발생 시점으로부터 1년 동안 0.98%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중 글로벌 금융시장이 미국발 금리 인상 충격에 휩싸이면 한국 성장률이 3% 초반대로 주저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4.0%, 3.9%로 잡고 있다.

IMF는 이런 내용을 지난 21일 열린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의 공동 콘퍼런스에서 발표했다.

로메인 듀발 IMF 아시아·태평양 지역경제팀장은 "한국에 들어오는 자본은 외부충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금융부문에서 자본유출 가능성이 있고, 실물경제 부문은 대(對) 미국 수출 둔화로 어려워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상황에서 일본 경제성장률은 0.86%포인트, 아세안 5개국은 0.85%포인트, 중국은 0.79%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인도가 0.15%포인트로, 예상 성장률 하락 폭이 가장 낮다. 한국의 하락폭이 가장 크다.

듀발 팀장은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예상치 못했던 통화정책으로 쇼크가 일어날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 연준이 처음으로 양적완화를 거둬들일 수 있다고 시사하자 미국 장기 금리가 단기간에 1%포인트(100bp) 상승했다. 신흥국 시장은 자금 이탈로 몸살을 앓은 바 있다.

다만 IMF는 "한국이 재정·통화정책을 추가로 쓸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정책 대응을 적절히 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