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74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7.0% 증가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은 3분기 마케팅비 감소 등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을 앞두고 지난 3분기 정부가 불법보조금 등에 대해 강하게 규제하면서 마케팅비도 대폭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번호이동 규모의 경우 7월과 8월 일평균 번호이동건수도 각각 2만1000건, 1만7000건 수준으로 정부가 정한 시장과열 기준(2만4000건)도 밑돌았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조76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줄었지만 당기순이익은 756억원으로 8.6% 늘었다.
무선수익은 LTE 가입자 증가에 따른 서비스 수익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6.5% 성장한 1조2969억원을 달성했다.
3분기 LTE 서비스 가입자는 전년 동기 대비 24.9%, 전 분기 대비 4.7% 증가한 약 818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무선 가입자의 73.3%로 전년 동기 대비 12.2%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무선 서비스의 가입자당 평균매출액(ARPU)은 전년 동기 대비 4.8%, 전 분기 대비 1.5% 상승한 3만6159원을 기록했다.
한편 TPS 수익의 경우 TPS 가입자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약 924만7000명을 기록하며 수익도 전년 동기 대비 11.1%, 직전 분기 대비 2.6% 성장한 3374억원을 달성했다.
IPTV 수익은 주문형비디오(VOD), 홈쇼핑 등 부가서비스 수익 증대와 고가치 상품인 'U+tv G 14 요금제' 신규 유치율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5.5% 증가한 1000억원을 기록했다. 가입자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한 187만5000명을 달성했다.
이 같은 유선 사업 부문의 성장 요인은 'U+tv G', '홈보이(homeBoy)', '홈CCTV 맘카' 등 선도적인 컨버지드 홈 상품의 경쟁력을 통해 고가치 가입자가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LG유플러스 측은 분석했다.
데이터 수익의 경우 전 분기 대비 1.2% 감소한 3437억원을 기록했으나 모바일 결제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보안이 강화된 간편결제 서비스 U+페이나우(Paynow)의 성장으로 e-biz사업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4.3%, 전 분기 대비 1.1% 증가한 1314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마케팅 비용은 무선경쟁 완화에 따라 전 분기 대비 13.2% 감소한 4772억원을 보였다.
한편 LG유플러스 3분기 설비투자(CAPEX)는 광대역 LTE-A 전국망 구축 완료에 따라 전년 동기대비 36.1% 증가, 전 분기 대비 29.5% 감소한 4721억원을 나타냈다.
김영섭 LG유플러스 경영관리실장 부사장은 "LG유플러스는 All-IP 기반의 유무선 경쟁력을 기반으로 광대역 LTE-A 시장에서의 비디오 서비스를 주도함은 물론, U+tv G4K UHD 출시 등에 힘입어 컨버지드 홈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지속 강화하는 등 질적 성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단통법 등 정부의 시장 안정화 조치에 적극 동참함과 동시에 건전한 유통 시장 활성화와 소비자 혜택 강화를 위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