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SDI, 합병 후 첫 영업이익 262억으로 부진

지난 7월 제일모직(현재 삼성SDI 소재부문)을 합병한 삼성SDI가 다소 부진한 실적의 첫 성적표를 내놨다.

삼성SDI는 3분기 매출 1조8918억원, 영업이익 262억원이며 순손실은 129억원 발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3분기 삼성SDI는 IT 시장의 수요 둔화로 전분기(합병 전 에너지솔루션부문과 소재부문의 단순 합산 기준) 대비 매출은 0.2%(42억원), 영업이익은 45.8%(221억) 감소했다.

당기 순이익은 PDP사업 중단의 영향으로 151.2%(381억원) 줄었다.

3분기 소형전지 사업은 선진 시장에서 태블릿PC와 스마트폰용 수요가 둔화됐지만 중국시장에서 판매가 크게 신장했으며 신규고객 진입도 확대했다. 특히 전동공구, 전기자전거 등 고부가 비 IT 제품의 판매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자동차전지는 BMW그룹 등 유럽의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또 중국 자동차 브랜드들의 수주를 확대해 현지 생산을 위한 안정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은 상업용 ESS 수주를 본격화하고 국내·외에서 전력용 ESS의 비중을 확대했다.

케미칼 사업은 3분기 계절적 성수기에 따른 모바일, 가전 수요 증가로 합성수지의 물량과 매출이 소폭 증가했다. 인조대리석은 2분기 생산라인 증설 후 생산량을 늘리며 수익성을 유지했다.

전자재료 사업은 3분기 반도체 업황 호조에 힘입어 반도체 공정 소재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다. 특히 편광필름사업은 업황 호조 및 기술 경쟁력 확보에 따른 흑자전환 달성으로 전자재료 사업부의 수익성을 견인하였다.

회사 측은 4분기 주요 IT 제조사의 스마트폰·스마트워치 신제품이 본격적으로 출시되면서 소형전지 사업의 매출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전지는 3분기 양산 물량이 확대되면서 연간 매출이 전년대비 약 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4분기 ESS는 국내 전력용 ESS의 공급을 확대하고 삼성 관계사에 UPS(무정전 전원 장치) 공급도 확대할 방침이다. 또 3분기에 출시한 가정용 올인원 ESS 제품의 유럽 판매를 본격화 할 계획이다.

케미칼 사업의 경우 4분기 수요가 둔화되는 계절적인 비수기이지만 자동차 시장, 중국 모바일 시장 등 신규시장을 확대하는 한편 차별화 제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개선해 나간다는 목표다.

전자재료 사업 역시 4분기가 전통적인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주요 고객의 견조한 수요가 예상돼 전분기 수준의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