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주도해 만든 '사물인터넷(IoT) 촉진' 의제가 3일 열린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15일차 전체회의에서 결의로 채택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부산에서 열린 ITU 전권회의 전체회의에서 'IoT 촉진' 의제가 ITU 최초 결의로 채택돼 ITU 및 회원국들의 사업이 본격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1% 미만이나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등의 확산과 더불어 모든 사물이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는 초연결 혁명으로 다양한 산업 및 사회적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IoT 관련 세계시장은 지난해 200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억 달러 이상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글로벌 선도 기업들은 플랫폼 개발 및 표준선점을 위해 경쟁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IoT 산업은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및 제조역량, 브로드밴드 성공 정책경험 등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번 IoT 촉진 의제가 ITU 전권회의 사상 최초로 제안돼 결의로 채택된 만큼 앞으로 관련 국제표준개발 및 개도국 지원 등 ITU 이행사업에 우리 정부 및 기업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번 결의는 지난 2012년 10월 전권회의준비기획단 출범과 동시에 관계부처 및 유관기관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분야의 의제를 추전 받아 ICT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국제사회가 공감할 수 있는 의제로 선정됐다.
국내·외 전문가들과 논의를 통해 결의안을 구체화해 아태지역 준비회의에서 회원국들의 지지로 공동결의(ACP)로 채택돼 지난 8월 전권회의에 제출됐다. 이후 미래부는 미주, 유럽 등 다른 지역준비회의 및 주요 회원국들과 사전 협의·조정해 전권회의 결의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이상학 ITU 전권회의 준비기획단 부단장은 "이번 결의안이 채택됐다는 것은 IoT가 향후 글로벌 경제는 물론 우리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 세계가 인정한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세계 정보통신 정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게 됐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ITU에서 결의는 차기 전권회의에서 별도로 폐지를 의결하지 않는 한 지속적인 효력을 가지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도 IoT 발전과 확산을 위한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