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5일 이통사 '아이폰6 대란' 사과에 대해 "이통사가 자기반성 없이 유통점(판매점·대리점)에 그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동통신유통협회는 "아이폰6 대란의 시작점은 정부의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호도를 위한 갑작스런 '주말 전산 오픈'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주 5일 근무제 도입으로 인해 주말에는 휴대전화 개통이 불가능했다. 단순히 예약가입 형태로 가입이 가능했던 것이다.
하지만 미래창조과학부 소관의 '번호이동성 운영지침'에 따라 정부와 이동통신 3사는 아이폰6·아이폰6 플러스 예약가입자의 불편 해소를 위해 지난달 31일 주말 전산을 오픈했다.
이에 협회 측은 "주말 전산 오픈은 곧 불법 온라인 업체의 판매 길을 열어준 것"이라며 "과연 이번 아이폰6의 예약가입 상황이 3년 만에 전산을 오픈할 정도로 절실하게 많았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특히 주말 전산 오픈과 아이폰6 출시로 인해 불법 온라인 판매가 횡횡할 징후가 지난 1일 예견됐으나 방송통신위원회와 이통 3사는 일선 대리점과 판매점에 어떠한 주의나 경고 조치 없이 수수방관 했다고 역설했다.
이 같은 상황적 요인이 결국 1~2일 '아이폰6 대란'을 야기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협회는 "이통사는 유통의 최약자인 일반 유통점만 단속과 처벌을 일삼을 것이 아니라 과도한 장려금을 휴일 야밤에 기습적으로 지급하는 의도에 대해 밝히고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가계통신비 절감과 차별 없는 이용자를 위한 단통법은 실패했다"며 "이번 아이폰6 대란도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유통점의 목소리를 외면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한편 협회는 ▲영세한 유통점에 대한 말살 행위 중단 ▲공시지원금 현실화 ▲온라인 불법 유통업체와 불법 대리점 공개 조사 ▲정부·이통3사·유통협회가 참여하는 상설 통신협의체 구성 등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