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장 출제 오류 관련 자진 사퇴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 오류 논란이 일었던 생명과학Ⅱ 8번 문항과 영어 25번 문항이 복수정답으로 인정됐다.
이에 따라 생명과학Ⅱ에 응시한 수험생 중 3000∼4000명이 등급이 오를 것으로 보이고, 반면 영어 25번의 경우 복수정답을 선택한 학생 비율이 낮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정답자나 복수정답이 아닌 오답을 선택한 수험생은 성적이 떨어져 논란이 예상된다.
이번 출제 오류 논란과 관련, 수능 출제 당국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의 김성훈 평가원장이 24일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했다.
평가원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생명과학Ⅱ 8번은 평가원이 정답으로 제시한 ④번 외에 ②번도, 영어 25번 문항 역시 ④번과 함께 ⑤번도 정답으로 인정하기로 하는 등 2015학년도 수능 정답을 확정·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수능 직후 이의신청 기간에 접수된 이의신청은 총 문항 131개로, 이 중 129개 문항은 '문제와 정답에 이상 없음'으로 판정했다"고 말했다.
평가원은 생명과학Ⅱ 8번에 대해선 표현상의 문제로 해석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보기'의 선택지 중 'ㄱ'과 'ㄴ'을 모두 참으로 판단하거나 'ㄴ'만 참으로 볼 수가 있어 'ㄴ'만 참으로 한 ②번도 정답으로 인정했다고 밝혔다. 영어 25번과 관련해서는 'percent'는 백분율을 나타내고, 'percent point'는 백분율 간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percent'라고 표현한 답지 ⑤번은 주어진 그래프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김성훈 평가원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올해는 작년과 같은 문항 오류를 막기 위해 출제와 검토 과정을 보완하고자 최선을 다했으나 또 흠결을 가진 문항을 출제하게 돼 수험생과 학부모, 교사들에게 혼란과 불편을 드렸다"며 "스스로 모든 책임을 지고 평가원장직에서 물러나고자 한다"고 자진 사퇴를 밝혔다.
평가원장이 수능 출제 오류와 관련 사퇴한 것은 2004학년도, 2008학년도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입시업체들은 이번 복수정답 처리로 생명과학Ⅱ에서 등급이 오르는 수험생을 3000∼4000명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오답을 선택한 수험생 중 등급이 하락하는 수험생의 숫자는 최소 1700여명, 최대 6100여명으로 추청치의 편차가 크다.
교육부는 출제 오류가 연이어 발생함에 따라 다음 달 중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및 운영체제 개선위원회(가칭)'를 구성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의신청이 제기된 131개 문항에 대한 심사 결과는 평가원 홈페이지(www.kice.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