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야구

FA 남은 자와 나선 자…집 떠난 11명 다음달 3일까지 타구단과 협상



프로야구 자유계약선수(FA) 시장이 2막의 문을 열었다.

올 겨울 FA를 신청한 9개 구단 19명의 선수 중 11명이 원 소속구단을 떠났다. 원 소속구단과의 협상 기한이 26일 자정을 기점으로 끝난 가운데 이번 FA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은 팀은 SK 와이번스와 삼성 라이온즈, 그리고 롯데 자이언츠다.

가장 많은 5명의 선수가 FA 자격을 얻은 SK는 올해 FA 시장의 최대어로 손꼽힌 최정을 비롯해 김강민·조동화 등 3명을 팀에 잔류시켰다. 삼성은 4명이 FA 자격을 얻었는데 선발투수 윤성환과 불펜의 핵심 안지만, 내야수 조동찬을 붙잡는데 성공했고 프랜차이즈 스타 배영수는 시장에 나서게 됐다. 롯데의 경우 88억원 제안을 거절한 장원준이 시장에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SK는 원소속구단 협상 기간 총 164억원을 쏟아부었다. 특히 최정과는 4년간 총 86억원에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 44억원, 연봉 44억원에 모두 보장 금액이다. 원 소속구단 협상 마감시한인 26일 밤까지 김강민과 줄다리기를 벌인 SK는 결국 계약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김강민과 친분이 두터운 박경완 육성총괄까지 협상에 참여시킨 결과다. SK는 김강민에게 4년간 총 56억원을 제시했다. 계약금 28억원, 연봉 24억원에 옵션 4억원이다. 조동화에게도 4년간 총액 22억원을 안기고 계약에 성공한 SK는 FA로 풀린 5명 가운데 3명을 붙잡았다.

지난해 장원삼에게 4년간 60억원을 안기며 성공적으로 원 소속구단 협상을 마무리했던 삼성은 올해 174억원을 풀어 역시 성공적으로 내부 단속을 끝냈다. 삼성은 윤성환과 4년간 총액 80억원에 계약을 마쳤다. 계약금 48억원에 연봉 8억원이다. 안지만은 계약금 35억원, 연봉 7억5000만원 등 4년간 총 65억원을 받고 삼성 잔류를 택했다. 이로써 삼성은 철벽 마운드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멀티 내야수인 조동찬에게는 4년간 28억원을 제시했고 계약에 성공했다. 다만 국내 현역 최다승 기록을 보유한 베테랑 투수 배영수를 놓친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삼성은 26일 자정까지 배영수와 협상 테이블을 접지 않았으나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헤어졌다.

가장 이슈를 모았던 팀은 단연 롯데다. 롯데는 좌완 선발 투수 장원준에게 4년간 88억원이라는 역대 최고 조건을 제시하고도 계약을 체결하지 못했다. 장원준은 변화가 필요하다며 시장에 나가 자신의 가치를 평가받길 원했다. 90억원에 가까운 돈을 포기하고 시장으로 걸어 나온 장원준은 자신감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부에서는 장원준이 사상 최초 FA 100억원 신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한국 프로야구에서 FA 선수를 데려간 팀이 전 소속팀에 보상선수 1명과 해당 선수 전년도 연봉의 200%를 내줘야 한다. 보상선수를 원하지 않는다면 보상선수 없이 전년도 연봉의 300%를 지불해야 한다. 이런 부담을 안고 장원준을 데려갈 팀이 어딜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FA가 두 명 뿐이었던 LG 트윈스는 프랜차이즈 스타인 박용택을 4년 총 50억원 조건으로 붙잡았다. KIA 타이거즈는 송은범, 차일목 두 명 모두 잡지 못했다. 한화 이글스는 협상 마감시한을 얼마 남기지 않고 유일한 FA 김경언과 3년 총액 8억5000만원에 도장을 찍었고 넥센은 시장에 나가 평가받고 싶다는 이성열의 뜻을 존중해 협상이 결렬됐다.

이로써 원소속구단을 제외한 FA 2차 협상에는 총 11명의 선수가 나서게 된다. 기한은 다음달 3일까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