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사업자 씨앤앰은 노동조합 측에 "근로자의 소중한 생명을 담보로 무리한 주장을 답습하지 말고, 109명 고용 문제 해결 시 고공농성을 철회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3자 협의체의 본질은 109명 계약종료 협력업체 정규직 농성근로자의 고용문제 해결이지 노조 측이 요구하고 있는 씨앤앰 지부 임단협, 고용보장, 위로금 지급 등을 묶은 패키지딜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씨앤앰은 지난 4일 열린 3자 협의체 회의에서 노조 협상대표단에게 "고공농성 중인 근로자 2명의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109명 계약종료 협력업체 근로자의 고용 문제가 해결되는 시점에 2명 근로자가 농성을 철회하고 안전하게 내려오는 것을 확답해달라"고 제안했다.
앞서 지난달 12일부터 씨앤앰의 협력업체 직원 2명은 해고자 원직복직, 구조조정 중단 등을 요구하며 서울 파이낸스센터 앞 25m 높이의 전광판에서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 같은 씨앤앰 측은 요구에 노조 측은 ▲협력업체 109명의 해고자 원직 복직 ▲구조조정 중단 및 고용보장 ▲2014년 임단협 체결 ▲위로금 지급 등 4가지 조건의 일괄타결이 아니면 협상도 고공농성 철회도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씨앤앰 측이 지난 1일 '영업 및 설치 전문 협력회사 신설을 통한 109명 전원 정규직 채용과 기본급 보장 및 월간업무량에 따른 추가수수료 지급' 등을 담은 안을 제시했으나 노조 측은 이 제안도 거부했다.
씨앤앰 측은 이에 대해 "노조 측이 씨앤앰의 인도적인 요구 조차 거부한 것은 결국 109명 고용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2명의 농성 근로자는 내려오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는 개인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한 도를 넘어선 집단이기주의의 표출이며 전형적인 벼랑 끝 전술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씨앤앰 측은 노조 측의 쟁점 중 하나로 주장하고 있는 '무조건적인 원직 복직'도 비현실적이라는 입장이다. 이미 일부 협력업체의 경우 폐업으로 인해 일자리가 없어졌으며, 새롭게 계약을 맺은 신규 협력업체의 경우 인력들이 이미 충원됐기 때문이다.
한편 씨앤앰은 노조 측과의 협상은 계속 이어가길 바란다는 바람도 드러냈다.
씨앤앰 관계자는 "미디어 시장의 과도한 출혈경쟁으로 인해 경영여건이 어려워졌음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도의적 책임을 지고 109명 고용문제를 위해 나서고 있는 만큼 노조 측도 3자 협의체를 통한 협상에 적극 나서달라"며 "노조 측 협상중단 선언에도 불구하고 3자 협의체를 통해 계속 대화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