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일본발 스마트폰이 국내 휴대전화 시장 판도를 흔들고 있다.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으로 휴대전화 가격 경쟁력이 중요변수로 떠오르자 중국·일본산 단말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LG전자, 애플 등 주요 프리미엄 폰으로 제한됐던 이동통신사 매장 풍경도 중국·일본산 단말기가 깔리기 시작하며 다양해지고 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지난 2일부터 중국 화웨이의 스마트폰 'X3'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어 CJ헬로비전도 9일부터 일본 소니의 스마트폰 '엑스페리아Z3 콤팩트'의 본격 판매에 나섰다.
통신업계가 이처럼 중국과 일본 등 외산 단말기에 본격 눈을 돌리게 된 것은 단통법 시행 이후 중저가 단말기를 선호하는 고객 니즈 때문으로 분석된다.
CJ헬로비전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외산폰 출시를 검토해 왔는데 가격 대비 성능 차원에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만한 단말기가 없었다"면서 "지난 10월 소니가 출시한 엑스페리아Z3 콤팩트는 여러 후보군 중 가격 대비 성능, 애프터서비스(AS), 물량 등 여러 조건을 충족해 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CJ헬로비전의 알뜰폰 '헬로모바일'은 소비자들이 원하고 경쟁력있는 상품이라면 국산폰이나 외산폰에 신경쓰지 않고 출시할 것"이라며 "향후 외산폰의 추가 출시 계획에 있어서 이번 엑스페리아Z3 콤팩트 출시가 하나의 테스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헬로모바일이 출시한 엑스페리아Z3 콤팩트는 4.6인치 크기의 엑스페리아Z3 DNA를 그대로 이어받았다. 최고 감도(ISO) 1만2800과 스테디샷을 지원하는 2070만 화소의 고성능 카메라, 25㎜ 광각 G렌즈를 탑재했으며 업계 최고 수준의 IP68 방진·방수 기능 등을 자랑한다.
헬로모바일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출고가 54만9000원인 소니 엑스페리아Z3 콤팩트가 최대 지원금인 30만원을 받을 경우 24만9000원에 구입이 가능하다고 공시했다. 최대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헬로LTE 62 요금제나 무한수다55 요금제 이상을 이용하면 된다.
알뜰폰 업체에서 일본산 휴대전화 단말기를 판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실 국내 시장에서 중국·일본 등 외산 단말기의 경우 어려움을 겪어 왔다. 국내 이용자들은 고가의 프리미엄급 단말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짙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10월 1일부터 단통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이 크게 줄면서 중저가 단말기에 대한 선호도 높아지고 있으며, 외산폰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다.
앞서 LG유플러스의 알뜰폰 자회사인 미디어로그가 지난 10월 1일부터 본격 판매에 들어간 화웨이 X3 출시 역시 이 같은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 다만 X3의 경우 국내 시장에서 큰 재미를 보지 못했다. 이에 당초 52만8000원이던 출고가도 지난달 말 33만원까지 낮췄다.
5인치 풀HD 터치스크린에 LTE Cat.6(광대역 LTE-A)를 지원하고, 500만 화소의 전면 카메라, 3000mAh의 대용량 배터리, '슈퍼 파워 세이빙 모드 기능'을 통한 최대 16시간 연속 통화 등을 지원한다. 이처럼 고사양에도 불구하고 낮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지만 중국산 스마트폰에 대한 국내 시장 분위기는 차가웠다.
이에 모기업인 LG유플러스가 직접 나서 중국산 스마트폰에 대한 인지도 개선에 나서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 그동안 ZTE·블랙베리·노키아 등 외산 휴대전화가 보조금 경쟁으로 인한 프리미엄급 스마트폰에 밀려 시장에서 잇따라 실패를 맛 본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단통법 시행 이후 중저가 휴대전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이번 중국·일본발 스마트폰이 얼마나 판매 성과를 보이느냐에 따라 국내 통신시장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