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실 판매 급감으로 결핵 퇴치 재원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결핵 환자수는 여전히 증가하는 추세인데다 공공기관에 실 모금 협조를 의무화하는 조항이 조만간 관련법에서 빠지게 되는 상황에서 실 판매량까지 줄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19일 대한결핵협회에 따르면 16일까지 올해 크리스마스 실 판매액은 21억4300만원으로 작년 같은 시점의 25억8100만원에 비해 17.0%나 줄었다. 2012년도(26억2000만원)와 비교하면 하락폭은 더 크다.
협회는 올해 판매 목표액을 42억원으로 잡았다. 목표를 절반 가량 달성했지만 크리스마스 실의 판매가 12월에 집중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최종 목표액을 채우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마스 실 판매액은 매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판매 실적은 2011년 50억1848만원, 2012년 43억431억원, 2013년 39억189만원 등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실 판매액은 협회가 벌이는 결핵퇴치사업의 재원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협회 총예산의 20% 이상을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다.
반면 결핵 환자수는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다. 2013년 새로 결핵 진단을 받은 환자의 수는 3만6089명으로 5년 전인 2008년의 3만4157명보다 5.7% 늘었다.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은 모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최고 수준이다.
실 판매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크리스마스 카드 등 우편물 사용이 줄어든 탓이 크다.
여기에 정부가 크리스마스 실 판매에 학교법인 등이 협조하도록 의무화한 규정을 폐지한 결핵예방법 일부개정안이 통과되면 실 판매는 내년에는 더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마스 실은 1932년 캐나다의 선교의사인 셔우드홀에 의해 한반도에서 판매되기 시작했다. 이후 1953년 대한결핵협회 창립 후 본격적으로 판매돼 범국민적 성금 운동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협회는 올해 반달곰·수달·사향노루·가문비나무·금강초롱꽃 등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고유 동식물 10종을 소재로 한 크리스마스 실을 판매 중이다. 1매에 300원이며 2015년 2월까지 판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