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15' 삼성전자·LG전자 부스 전경
중국발 가전·정보통신기술(ICT) 공습에 맞서 국내 주요 기업들이 6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15'에서 신무기로 맞선다.
CES는 새해를 여는 첫 가전전시회로 매년 그 해에 주목받는 서비스와 제품 등이 전시돼 주목받는다. ICT 강국답게 우리나라 기업들 역시 CES에서의 주목도는 남다르다. 전통적으로 TV,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기기가 CES에서 대표 제품으로 주목받아왔고, 국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관련 시장을 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전시나 참관 목적으로 방문한 관객도 미국과 인근 지역 국가인 캐나다를 제외하면 우리나라가 가장 많았고 중국과 일본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대표 가전 기업인 삼성전자, LG전자뿐 아니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도 CES에 주목하고 있다. 이통 3사는 'CES 2015'를 통해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홈 시대, 시장 선도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전시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세계시장 개척의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SK텔레콤은 CES 2015에서 비디오·오디오, 건강(Wellness), 교육 등 3개분야에서 ▲레이저 피코 프로젝터 '스마트빔 HD' ▲스마트 와이파이(WiFi) 오디오인 '링키지' ▲공기오염도 측정기기인 '에어큐브' 등 총 7종의 제품과 서비스를 전시한다.
SK텔레콤은 이처럼 스마트홈 시대를 주도할 제품 전시뿐 아니라 이형희 사업총괄 부사장을 비롯한 취고위 임원들이 행사에 참가해 글로벌 ICT기업 인사들과 교류하며 신규 비즈니스 사업 발굴에 나선다.
LG유플러스도 IoT 시대 스마트홈 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이상철 부회장이 직접 CES 2015에 참관한다.
이상철 부회장은 이번 CES에서 퀄컴, 인텔 등 해외 업체와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가전 부스를 방문해 홈 IoT 관련 기술 트렌드를 참관하고 서비스 차별화 방안 모색에 나선다. 또한 Z-Wave 얼라이언스 등 글로벌 IoT 기업들의 주요 임원을 차례로 만나 사업협력을 강화한다. 현대자동차를 포함해 벤츠, BMW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 부스를 방문, 스마트카의 기술동향을 직접 확인할 계획이다. 이 부회장은 IoT 사업분야 주요 임원들과 CES 전시 부스 참관을 통해 발굴된 아이디어를 올해 추진하는 IoT 신사업에 적극 접목, 홈IoT 시장 선도사업자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KT는 황창규 회장 대신 서비스 개발본부장 등 서비스 개발 및 디바이스 담당 임직원 4~5명이 CES에 참석한다. 이들은 현지 전시업체와 교류 및 협력에 나설 예정이다.
올해 CES에서 이들은 빅데이터가 그룹사의 서비스·기술·인력·인프라와 함께 시너지를 내 KT그룹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또한 국민 기업이라는 특성을 KT만의 경쟁력으로 만드는 방안을 고려한다.
이통사 관계자는 "IoT 시대 스마트홈 경쟁력 강화가 올해의 화두가 될 것 같다"면서 "이번 CES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혁신 아이디어 및 트렌드를 살피고 고객 중심의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안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