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던 알뜰폰이 올해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지난해 이동통신 3사의 45일간 영업정지,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등의 영향으로 반사이익을 거두며 알뜰폰 가입자는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7.9%까지 차지했다.
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올해도 알뜰폰의 성장세가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올해 알뜰폰 가입자가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1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단통법 영향으로 저가 요금제·단말기를 선호하는 이용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우체국알뜰폰 업체가 기존 6곳에서 10곳으로 확대되는 등이 호재로 작용할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2013년 12월 248만명이었던 알뜰폰 가입자수가 지난해 12월 현재 458만명까지 급증했다. 1년새 2배 가량 늘어난 것이다.
여기에 지난해 KT의 알뜰폰 자회사인 KTIS, LG유플러스의 알뜰폰 자회사인 미디어로그까지 시장에 진출하며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이들 업체는 기존 2G, 3G 중심의 알뜰폰 시장을 4G(LTE)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동안 알뜰폰은 싼 요금제, 싼 단말기만 사용한다는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실제 미디어로그는 현재 7만여 가입자 중 68%가 LTE 가입자일 정도로 알뜰폰 업계에 LTE 바람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KTIS도 LTE 중심의 가입자 유치에 나서면서 전체적인 알뜰폰 시장 트렌드를 변화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같은 모습에 힘입어 전체 알뜰폰 사업자의 LTE 가입자도 1월 4.8%에서 지난해 11월 8%까지 증가했다.
한 알뜰폰 업체 관계자는 "과거 2G나 3G 중심의 저가 요금 가입자에서 LTE 가입자 확대로 인해 알뜰폰 업체들의 수익 안정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면서 "가입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알뜰폰 사업자들이 흑자를 내기 힘든 상황에서 올해 LTE 가입자 중심의 사업 경쟁력 강화는 매출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알뜰폰 업계에 효자로 자리잡은 우체국알뜰폰 사업 역시 올해도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해에는 아이즈비전, 에넥스텔레콤, 유니컴즈, 스페이스네트 등 우체국알뜰폰 사업자가 6곳에 불과했으나 지난 6일부터 큰사람, 스마텔, 온세텔레콤, 위너스텔 등 4곳이 추가됐다.
우체국알뜰폰은 사업자 확대와 함께 청소년 전용 요금제, 무약정 반값요금제 등 판매상품을 18종에서 30종으로 늘렸다. 이에 따라 우체국알뜰폰 가입자들도 가입 업체뿐 아니라 단말기, 요금제까지 선택폭이 넓어졌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통법, 우체국알뜰폰 사업자 확대 등 영향으로 알뜰폰 가입자가 올해 650만명을 넘어서면서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점유율 10%를 가볍게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대기업 계열 알뜰폰의 시장장악이 시작되면서 생기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와의 갈등은 반드시 해결해야할 숙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