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동산경매에서 낙찰된 15층 이하 아파트 물건 중 가장 인기가 좋았던 층수는 14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경매정보사이트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 1년 간 낙찰된 전국 아파트 1만5388개 중 최고층이 15층 이하인 아파트 9584개를 선별해 조사한 결과 14층에 대한 입찰경쟁률이 8.15대 1로 가장 높았다.
14층 아파트 물건은 2013년에도 6.99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전체 층 중 가장 인기가 좋았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경쟁자가 평균 1명 이상 늘어난 셈이다. 다음으로 인기가 높은 층은 12층으로 평균 8.06명이 입찰에 참여했고 이어 11층 8.05대 1, 9층 7.17대 1, 7층 7.16대 1 순이다.
전통적으로 로열층이라 불리던 7~11층보다 꼭대기 층에 가까운 물건이 인기가 높았던 이유에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아파트 층고가 계속 높아지면서 선호되는 층수가 바뀌고 있다. 시야와 채광을 중시하는 아파트 수요자들이 늘어나면서 빚어진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15층 이하 아파트 중 경쟁률이 가장 낮은 층은 4.93대 1을 기록한 5층으로 나타났다. 정 팀장은 "해당 아파트가 저층인 경우 엘리베이터가 없기 때문에 5층까지 걸어오르기가 힘들고 고층인 경우에도 별다른 장점이 없어 1층보다 입찰경쟁이 덜했던 것"이라고 풀이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에서도 1층보다 5층 아파트 물건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층 아파트 낙찰가율은 79.8%로 유일하게 80%를 밑돌았다. 같은 기간 1층 아파트 낙찰가율은 81.6%를 기록했다. 15층 중 낙찰가율 90%를 넘긴 층은 11층부터 15층으로 모두 고층인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