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행정기간과 지방자치단체가 올해 정보화 시행을 위해 5조2094억원을 투입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입·사법부 포함 53개 기관, 17개 광역시·도, 227개 시군구가 '제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에 따라 확정한 2015년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종합·분석 발표했다.
올해 정보화 시행계획 규모는 총 7555개 사업을 위해 5조2094억원이 투입된다. 이는 전년대비 사업개수는 11.5%, 예산은 5.9% 증가한 것이다.
중앙행정기관은 846개 사업(신규 88개)에 4조1070억원을 투자하며, 지방자치단체는 6709개 사업(신규 1270개)에 1조102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중앙행정기관은 창조비타민 등 올해 정보화사업을 통해 창조경제 실현 및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추진 등을 지원한다.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지속적 확산과 정보보호 강화 등의 노력과 함께 미래 정보화 비전인 '초연결 창조사회 실현'을 지원한다.
디지털 초연결 대응의 핵심 기술인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정보화 예산은 각각 692억원, 1937억원으로 전년대비 34%, 54% 증액됐다. ICT 융합 분야에서는 홈·가전·자동차 등 핵심 업종의 ICT 융합을 위해 정부부처와 민간이 공동 추진하는 스마트 챌린지 사업이 올해 신규로 진행된다.
정보보호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신규 사업으로 사물인터넷 보안 등을 위한 'ICT 산업융합 보안솔루션 개발사업(30억원)'과 '인터넷 침해대응센터 이중화(10억원)' 등도 본격 추진된다.
정부는 특정 소프트웨어(SW)에 대한 의존성을 극복하고 국가정보화 사업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관련 사업 74개에 426억원을 투자한다.
또한 지난해 미래정보화 비전으로 선포한 '초연결 창조사회 실현'과 연관된 사업에는 ▲상상력이 꽃피는 디지털 토양 마련 관련 28개 1763억원 ▲미래 성장기반 확충 관련 61개 2134억원 ▲소프트창의 역량 강화 관련 24개 475억원 ▲초연결 기술 고도화 관련 67개 2904억원 ▲글로벌 리더십 확보 관련 20개 587억원 등 총 200개 사업에 7863억원을 투입한다.
미래부 관계자는 "올해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통해 창조경제 성과 발현이 본격화되고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초연결 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정보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물인터넷 등 새로운 ICT도 본격 확산돼 각 부처들이 소관 분야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국민들의 편익을 높이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