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버샵 아카펠라를 노래하는 바버렛츠(왼쪽)와 뉴잭스윙 아티스트 기린. /에그플랜트·비트볼뮤직
사람도 기술도 노래도 최첨단을 달리는 2015년 마치 과거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온 듯 한 가수들이 음악팬들을 사로잡고 있다.
3인조 걸그룹 바버렛츠는 스스로를 '시간여행 걸그룹'이라고 소개한다.
바버렛츠의 무대를 보면 1950년대 우리나라 최초 여성 보컬그룹 김시스터즈나 미국의 앤드류시스터즈, 로네츠가 떠오른다. 리더 안신애는 "우리는 바버샵 아카펠라를 한다. 바버샵 아카펠라는 20세기 초반 미국 이발소에서 유행한 남성 중창단의 음악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KBS1 '가요무대'와 KBS2 '불후의 명곡'에 출연한 바버렛츠. /KBS
바버렛츠는 음악뿐만 아니라 외모도 예스럽다. 정수리를 가득 부풀린 '뽕머리', 새초롬한 아이라인, 붉은 립스틱, 반짝이 드레스까지 완벽한 복고풍이다.
언더신에서 이미 특색있는 걸그룹으로 인기를 모은 이들은 지난해 KBS1 '가요무대'에 출연해 한명숙의 '노란샤쓰의 사나이'를 부른데 이어 지난 3일 KBS2 '불후의 명곡' 신년특집편에서 오기택의 '아빠의 청춘'을 맛깔나게 살려 온라인상에서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들은 선배들의 음악을 흉내 내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안신애는 모든 노래를 직접 만든다. 그는 "처음 셋이 모였을 때부터 콘셉트를 확실히 잡고 시작했다"며 연구를 거듭해 지금 바버렛츠가 완성됐다고 설명했다.
기린 1집 '그대여 이제' 앨범커버(왼쪽), 2집 '사랑과 행복' 앨범커버. /비트볼뮤직
최근 '무한도전' 특별기획전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토토가)'에서 시작된 1990년대 열풍에 한 발 앞선 가수가 있다. 바로 가수 기린(본명 이대희)이다.
기린의 노래 '요즘 세대 연애 방식', '잼(Jam)', '히위고 나우' 등은 최근 힙합신 트랜드와 다소 거리가 있다. 그가 추구하는 음악은 바로 뉴잭스윙이다. 뉴잭스윙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 미국 R&B 가수 테디 라일리가 유행시킨 장르로 바비 브라운, 현진영, 듀스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다.
기린은 "어렸을 때 가수들을 보면서 '저렇게 되고 싶다'고 생각한 걸 지금까지 이어오는 중"이라며 "지금도 내 눈엔 그때 가수들이 여전히 멋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기린은 음악만 1990년대를 추구하지 않는다. 앨범 커버, 패션, 뮤직비디오까지 모두 철저하게 계산된 촌스러움으로 도배했다. 1990년대 길거리 카세트 테이프 노점에서 팔 법한 느낌의 앨범 재킷도 그의 작품이다. 그는 "'지겨워' 뮤직비디오는 직접 찍고 편집했다. 의도된 촌스러움이긴 하지만 내가 영상 편집에 서툴러 촌스럽게 나온 것도 있다"고 밝혔다.
그의 음악은 복고풍이지만 가사만큼은 현재를 다루고 있다. 기린은 "무조건 1990년대를 고집하는 것은 아니다. 가사는 내가 느낀 것을 담아야하기 때문에 현재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