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이 신용카드로 결제한 금액이 1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지출액 중 절반 이상이 중국인의 주머니에서 나온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신한카드와 한국문화정보원이 발표한 '2014년 외국인 시용카드 국내 사용액 분석'에 따르면 외국인이 지난해 국내에서 사용한 신용카드 사용액은 10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보다 38.8% 증가한 수치로, 내국인의 작년 카드 사용액인 460조원의 2.4% 정도에 해당하는 규모다.
국적별로는 중국인이 사용한 지출액 비중이 56.3%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인(15.4%)과 미국인(7.8%)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기간 중국인들은 전년대비 62.6%가 증가한 6조1300억원을 결제했다.
여기에는 지난해 2월 양양국제공항을 시작으로 청주, 김해공항 등에서 중국 관광객의 72시간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진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17위를 차지한 카자흐스탄의 경우, 결제 비중은 0.4%에 불과하지만 작년 7월부터 허가된 무비자 입국과 지자체의 의료 유치 활성화 등에 힙입어 2013년 사용액에서 110.7%나 급증했다.
업종별로는 쇼핑 지출액이 5조2000억원으로 전체의 절반 가량인 47.7%를 차지했다. 이어 숙박(34.1%)과 음식(7.8%), 의료(4.6%) 순으로 지출액이 높았다.
특히 의료업종의 경우 의료 유치 활성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51.3%가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사용한 돈이 7조9200억원(72.8%)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와 부산, 인천, 제주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안에서는 명동이 있는 중구가 지출액의 30%를 차지했고, 가로수길이 있는 강남구가 13%를 기록했다.
한편 지출액 증가율은 제주가 104.6%로 가장 높았다. 제주도의 경우 중국뿐 아니라 홍콩, 태국,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외국인들의 카드이용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개발에 활용, 과학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앞으로 의료와 스포츠분야 등 세부업종까지도 분석기준을 명확히 하고 관계당국의 통계데이터와 연계하는 등 민관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