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업계의 '미래 먹거리'인 자동차 부품사업이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자업체들의 자동차 부품사업이 다른 사업부문보다 월등히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LG전자에서 자동차 부품사업을 전담하는 VC사업본부는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두자릿수 성장을 이뤘다.
박경렬 LG전자 VC사업본부 기획관리담당 상무는 지난달 29일 실적 설명회에서 "LG전자 제품을 채용하는 차종이 늘어났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차량 전장부품 사업이 기본적으로 B2B(기업간거래) 사업에 해당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수치를 밝힐 순 없지만, 지속성장이 가능한 수준으로 수주 잔고가 늘어나고 있다고 박 상무는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도 지난주 실적 설명회에서 "차량 디스플레이 시장이 매년 두자릿수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앞으로 차량 1대당 디스플레이 1개 이상을 채용하는 오토(차량) 시장이 열릴 것"이라며 "수익성이 좋은 만큼 CID(중앙정보디스플레이),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등을 위한 토털 애플리케이션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송영권 LG디스플레이 전무는 "IPS(인플레인스위칭) 베이스의 LCD 디스플레이와 디자인을 고려한 플라스틱 올레드 디스플레이로 두 가지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6조4000억원대 매출을 올려 사상 최대를 기록한 LG이노텍의 차량 전장부품사업은 매출 증가율이 18.7%나 됐다. 작년 4분기 차량 전장부품 사업의 매출 증가율은 25%에 육박했다.
이는 자동차에 특화한 카메라 모듈, LED 등 융복합 제품 판매가 늘어난 덕분이다. 미국에서는 2018년부터 생산되는 전 차량에 후방 카메라 설치가 의무화되기 때문에 앞으로도 고성장이 예상된다.
여기에 LG이노텍은 차량 전장제품 사업에서 1조5000억원의 신규 수주에다 4조3000억원의 수주 잔고를 쌓는 성과도 냈다.
삼성SDI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차(PHEV), 전기차(EV) 중심의 자동차 전지 사업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SDI 측은 "자동차 전지만 따로 구체적인 성장률 수치를 공개할 순 없지만, 다른 부문보다는 훨씬 높다"면서 "2015년에는 신규모델을 중심으로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체 전지사업은 평균 8.2% 성장했는데 자동차 전지 부문은 두자릿수 성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영업이익을 내면서 소폭 흑자로 전환했는데 눈에 띄게 수익성이 좋아진 사업 중에는 전장용 MLCC(적층세라믹콘덴서)가 있다.
MLCC는 전자회로에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전자부품이다. 자동차 전장부품에 쓰는 MLCC는 특히 차량이라는 특성 때문에 고도의 안정성을 필요로 한다.
삼성전기는 "올해는 전장용 고신뢰성 MLCC 개발을 통해 시장 참여를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