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작년 국내 석유소비량 2011년 이후 최저···경기부진에 석유제품 소비도↓

작년 국내 석유소비량 2011년 이후 최저···경기부진에 석유제품 소비도↓

소비량 2년째 감소…감소폭은 더 커져
 


지난해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경기 부진으로 인해 국내 석유제품 소비량이 2013년에 이어 2년째 줄면서 2011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을 기록했다.

경기 부진으로 인해 일반용 석유제품의 소비가 부진했고 석유화학 업계를 비롯한 산업계의 석유소비도 감소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23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작년 국내에서 소비된 석유제품은 총 8억2209만2000배럴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8억2520만2000배럴보다 311만배럴(0.38%) 감소한 것이다.

작년 국내 석유제품 소비량은 지난 2011년 8억164만2000배럴을 기록한 이후 3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다.

이로써 국내 석유제품 소비량은 2013년에 전년대비 0.3% 감소한 이후 2년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감소폭은 0.3%에서 0.38%로 확대됐다.

국내 석유제품 소비랑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지난 2008년 7억664만1000배럴로 전년보다 3400만배럴 이상 급감했다가 2009∼2012년까지 증가세를 유지해왔다.

제품별로는 지난해 휘발유 소비가 전년대비 0.08% 늘어난 7347만3000배럴이었고 경유도 1억4475만6000배럴로 2013년보다 1% 증가했다.

반면 액화석유가스(LPG)는 전년보다 3.6% 감소한 8967만5000배럴이 소비된 것으로 집계됐고 등유는 무려 18%나 줄어든 1541만2000배럴이었다.

지난해 석유수출국기구(OPEC) 감산 중단으로 배럴당 75달러선이었던 두바이유 가격이 지난달엔 절반 수준인 42달러 선까지 떨어졌지만 불황으로 인해 석유제품의 수요와 소비는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한편,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3.4%, 유가(두바이유)를 배럴당 63.3달러로 가정할 때 국내 석유소비량이 작년보다 1.8%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