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스타K'에 이어 '언프리티 랩스타'로 시청률과 화제몰이에 성공한 엠넷.
공중파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제압하며 케이블 예능 프로그램으로서 최고의 성적을 거둔 '슈퍼스타K'를 탄생시킨 엠넷이 '랩 배틀'이라는 소재로 또 한 번 예능 강좌임을 입증시켰다.
케이블TV엠넷 '언프리티 랩스타'는 케이블, 종편 프로그램을 통틀어 동시간대 1위를 차지, 공중파까지 위협시키고 있어 무서운 기세를 보이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첫 방송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그 화제성 또한 최고다.
앞서 시즌제로 방영된 '쇼미더머니'를 통해 '랩 배틀' 소재를 예능으로 풀어낸 엠넷은 한창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던 힙합계 래퍼들의 '디스' 전쟁을 떠오르게 한다. 자극적인 가사로 호기심을 이끌어낸 이들의 '디스전'은 오히려 랩 실력이 두드러져 보여 '홍보' 효과를 톡톡히 본 케이스이기 때문. 엠넷은 '랩 배틀'을 예능으로 재탄생 시키면서 아이돌 음악이 판을 치는 한국 대중음악에 좀처럼 설 자리를 잃고 있는 이들에게 대놓고 마련해 준 무대는 래퍼들에게는 맘껏 무대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시청자들은 좀 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됐다.
실제 두터운 마니아층을 확보했던 '쇼미더머니'는 시청자들뿐만 아니라 동료 가수들에게도 호평을 이끌어내 '힙합'에 대한 무지 또는 편견을 없애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대중음악의 시야를 넓혀주는 계기가 됐다.
엠넷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신의 한수를 뒀다. 공중파의 냄비 근성을 따라가지 않고, 여자 래퍼들의 랩 배틀로 다시 한 번 승부수를 띄운 것이다. '슈퍼스타K' 첫 방과 유사한 모습으로 욕설로 인한 '삐' 처리가 난무했고, 이는 케이블만이 시도할 수 있는 '자유분방'함이었다. 일각에서는 '자극적인 내용, 과한 것 아니냐'는 비난어린 시선을 보이기도 했지만 '남자'가 하면 되고, '여자'가 하면 망했던 예능 프로그램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던 성공적인 시도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해야 함은 마땅하다.
첫 방송부터 '살벌'했다. 여자들의 싸움이 더 치열하고 뜨겁다는 것을 철저히 보여줬다. 힙합하면 당연하듯 남자 래퍼들의 이야기가 주였고, 여자 래퍼는 손에 꼽힐 정도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면 '언프리티 랩스타'는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살벌'한 여자 래퍼들만의 무서운 랩배틀로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데 성공하며 '여자 래퍼'임을 확실히 어필했다.
출연진 중 아이돌 그룹 멤버인 AOA 지민을 기용한 엠넷의 선택 역시 영리했다. 아이돌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편견이 여전히 무성한 가운데, 출연진들 역시 에둘러 말하지 않고 대놓고 '아이돌' 지민을 무시했다. 하지만 지민은 보란 듯이 실력으로 대결에 임했고, 그 동안 보여 지지 않았던 숨겨진 실력을 맘껏 발휘해 출연진들은 물론 시청자들에게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로 삼아 결국 '윈윈'하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언프리티 랩스타'의 이 같은 승승장구에서도 지켜야 할선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감정' 다툼이 아니라 '실력' 경쟁이 두드러져 보일 수 있도록 '자극적'인 부분만 앞세우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치열한 그녀들의 랩배틀에서의 무서운 언니들의 경쟁에 응원할 수 있도록 경쟁을 부추기 돼, 감정 선의 경계를 넘나들어 자칫 본래의 취지를 훼손시키는 일이 없길 바란다. '무서운 랩배틀' 언니들의 치열한 경쟁을 응원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