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매입 낭패 보지 않도록 따질 건 따져"
최근 천정부지 오르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과 넘치는 재건축 이주 수요로 '서민 주택'으로 불리던 빌라가 실수요자들 사이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통상 빌라는 세대별 분양이 가능한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을 포함한다. 연립주택은 건축물의 연면적이 660㎡를 초과하는 4층 이하 공동주택을 말하며 다세대주택은 연면적 660㎡ 이하인 4층 이하 공동주택을 말한다. 다가구주택 역시 연면적이 660㎡이하로 제한된 주택이지만 3층으로 건물 층 수가 제한된다. 단 1층이 주차장인 경우는 4층까지 허용되며 단독 세대별 분양이 불가능한 단독주택이다.
1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빌라 매매거래량은 약 5만3000건으로 전년 4만423건보다 1만2500여건 늘었다. 특히 12월에는 아파트 거래건수가 전년동기대비 7.6%포인트 감소한 반면 빌라의 경우 12.1%포인트 상승했다.
빌라의 거래량 상승세는 올 해 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국토부가 최근 밝힌 주택거래량 조사에서도 빌라의 거래 상승세가 아파트를 추월했다. 지난 2월 전국 아파트 거래가 전년동월대비 1.6% 감소할 때 빌라는 4.6%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빌라 거래량이 5.9%, 단독·다가구주택의 경우 11.8%까지 올랐다.
빌라의 인기는 경매시장에서도 확인됐다. KB 부동산 경매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 11일까지 입찰된 물건의 낙찰율은 36.81%로 낙찰가율 79.02%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낙찰율은 5.07%올랐고 낙찰가율은 3.39% 증가한 수치다. 수요도 많아지거니와 전보다 높은 금액에 빌라가 낙찰된 것을 의미한다.
아파트 전셋값이면 빌라를 사고도 1억원 이상 남길 수 있어 전세난에 지친 실수요자들이 매매 전환에 나서는 경우도 많다. 서울 서초구의 경우 지난 2월 전용 84㎡ 아파트가 6억~7억4000만원에 거래된 반면 빌라는 4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전용 64㎡에서도 아파트가 4억2000만원 선에서 거래됐을 때 빌라는 실거래가 3억원에 그치며 1억이 넘는 차이를 보였다.
빌라의 인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밀고 있는 매입형 임대주택사업에 따라 공급도 늘어날 전망이다. 오래된 건물을 부수고 신축 빌라를 지어 정부에 파는 전문 판매상까지 생겼을 정도다. 품질에 있어서도 자신 있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비사업해제구역에 까지 범위를 넓혔다고 품질이 낮은 주택을 사는 것은 아니다"며 "철거 후 신축형태로 짓도록 한 뒤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파트나 단독주택보다 초기 투자 비용이 저렴한 것과 주택을 더이상 투자대상으로 보지 않는 젊은 층의 인식도 빌라의 인기에 한 몫한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분위기에 휩쓸려 무턱대고 빌라를 매입했다간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전문가들은 주의를 당부했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책임연구원은 "지금이야 전세난의 대안으로 빌라가 각광받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아파트보다 수요가 없는 것은 사실"이라며 "환금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하고 고급 빌라가 아니고서야 처분 시 감가상각도 큰 편이다"고 말했다.
조 연구원은 또 "아파트는 시세가 형성돼 있지만 빌라는 정형화돼 있는 가격이 없는 것도 나중에 되 팔 때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주택담보대출에서도 아파트보다 금액과 금리 면에서 부족한 게 사실"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