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인중개사 10명 중 7명은 금리인하가 주택 구매력을 높여 매매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전국 회원 개업공인중개사 1000명을 대상으로 '금리인하가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번 금리 인하 결정은 '부동산 및 경기 회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였다'는 의견이 56.3%(563명)로 집계됐다. '가계부채만 늘어날 우려가 커 부정적이다'란 의견이 43.7%(437명)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금리인하가 매매 거래량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주택 구매력이 높아져 매매 거래가 늘어날 것'이라는 응답이 77.8%(778명)로 나타났다. 반면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22.2%(222명)에 그쳤다.
'금리인하가 매매 가격에 미칠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가격 상승을 이끌 것'이라는 답변이 61.2%(612명), '큰 변화 없을 것'이라는 답변이 38.8%(388명)로 나타나 응답자 60% 이상이 금리인하가 매매 거래량을 늘리면서 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인하가 전세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전세의 월세 가속화로 전세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81.0%(810명)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아울러 '전세의 월세 전환으로 물건이 늘어 월세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답변이 57.1%(571명), '전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월세 가격도 따라 오를 것'이라는 답변이 42.9%(429명)로 월세 가격 하락 전망이 상승 전망보다 조금 많았다.
'금리인하에 따른 최대 수혜 상품'으로는 '기존 아파트'가 38.1%(381명)로 가장 많았고 '분양 아파트'가 38.0%(380명)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 둘의 차이가 거의 없고 둘을 합한 수치가 76.1%로 결국 답변자 3분의 2 이상이 아파트가 최대 수혜 상품인 것으로 전망했다. 다음으로 '상가' 12.3%(123명),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5.3%(53명),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 5.1%(51명) 순이다.
이번 설문의 총 응답자는 1000명(수도권 617명, 지방 383명)이며 조사 기간은 3월 16일부터 3월 23일까지다.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 ±0.62%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