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KT가 IT에 문화·금융·건강·안전 등을 융합한 신산업 육성과 국내 벤처·중소기업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30일 엔씨소프트,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이 자리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를 개소했다.
앞으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발굴된 벤처·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창조경제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 해외 진출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공공지원센터에 위치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총 1620㎡의 규모로 구성됐다. 공공지원센터의 1층과 5층을 사용하는데 1층(340㎡)은 개방형 창의혁신 공간 및 네트워킹 공간으로, 5층(1280㎡)은 핀테크 지원센터를 비롯해 게임 소프트웨어 랩, 모바일과 사물인터넷 테스트베드를 마련했다.
경기도는 IT 융합 생태계 조성에 좋은 입지를 갖췄다. 국내 IT 기업의 48%가 위치해 있는데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는 엔씨소프트,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 ICT 관련 기업과 연구소가 밀집돼 있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G-Alliance(글로벌 연합체)창업지원기관과 협력하고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공공기관을 연계해 전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또한 해외전시회와 데모데이(Demo Day)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투자박람회를 개최한다. 해외 투자자들에게 국내 유망 벤처들의 정보를 공유해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G-Alliance는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육성한 스타트업 및 벤처 기업을 선발해 영국, 프랑스, 스페인에 직접 파견하고 현지 교육, 입주 공간 등을 지원한다. 또 맞춤형 단기연수, 창업지원 프로그램, G-Alliance 연합체의 회의 및 투자 박람회 참여 등을 제공해 벤처·스타트업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다.
또한 창조경제혁신센터 협의회를 중심으로 전국 혁신센터와 공공기관(KIC, 코트라등)의 글로벌 네트워크 및 해외 인프라를 하나로 연계해 전국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올해 7월부터 시행해 전국 기관 회의체 운영과 우수 스타트업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심사를 통해 선발된 스타트업을 사업 특성에 따라 각 지원 기관에 배정하고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벤처와 중소기업을 MWC, MWC 상하이, CES 등 해외 유명 산업 전시회에 참여시켜 해외 마케팅과 판로개척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실리콘밸리 VC를 대상으로 한 현지 데모데이를 열고 해외 투자자들을 초청해 투자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경쟁력이 있으면서도 해외무대에 자신을 드러낼 수 없었던 국내 스타트업의 어려움이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글로벌 진출이 가능한 스타트업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혁신센터 내 글로벌 상담창구를 개설해 해외투자자들에게 국내 유망벤처들의 정보와 매칭서비스를 제공한다.
황창규 KT 회장은 "경기창조경제 혁신센터는 IT 융합을 통한 신산업 창출,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의 허브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KT는 세계 최고 수준의 5G 기술과 GiGA인프라를 토대로 벤처,중소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K-Champ'로 성장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