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SKT, 가상화 장비로 'T와이파이' 성능 향상

SK텔레콤은 'T 와이파이(WiFi)' 체감 품질의 개선을 위한 와이파이 가상화 장비인 '클라우드 AC(Cloud AP Controller)'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14일 밝혔다.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T 와이파이(WiFi)' 체감 품질의 개선을 위한 와이파이 가상화 장비인 '클라우드 AC'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14일 밝혔다.

클라우드 AC는 와이파이 트래픽이 몰릴 경우 가상의 서버를 만들어 이를 해결하는 장비이다. 가상의 서버는 이미 구축돼있는 기존 서버의 남는 용량을 활용하는 만큼 트래픽 밀집지역에 별도 서버를 설치해야만 하는 현재 와이파이 서버 운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됐다.

고가의 서버를 별도로 구축할 경우 발생하는 비용 부담이나 장애 발생 시 직접 현장을 찾아가야 하는 등의 어려움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어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유연한 운영은 물론 데이터 트래픽 과밀 시 더욱 빠른 대응을 통해 이용자들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

클라우드 AC에는 와이파이 사용 중 장소를 옮길 경우 발생 가능한 접속 끊김 현상을 개선하는 '패스트 핸드오버' 기술도 적용됐다.

접속 끊김 현상은 와이파이 사용자가 접속 중인 AP(Access Point, 와이파이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역할을 하는 장비)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나 다른 AP 범위로 넘어가는 서비스 경계지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패스트 핸드오버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인근의 AP로 자동으로 빠르게 연결해 와이파이 접속이 끊기는 문제를 최소화했다.

SK텔레콤은 이날 제주국제공항에서 '클라우드 AC'를 상용화했으며 올해 내로 SK 와이번스의 홈구장인 인천SK행복드림구장과 서울역 등 와이파이 트래픽 밀집지역들을 중심으로 장비를 확대 구축할 예정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와이파이 서비스에 가상화 기술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고객의 와이파이 사용 편의를 큰 폭으로 제고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에도 차별화된 신기술과 장비의 도입을 통해 고객들이 한 차원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