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스타인터뷰] '스물' 정주연 "화려한 배우보다 행복한 배우 될래요"

배우 정주연./라운드테이블(김민주)



무엇을 해도 서툴고 어설프지만 그래서 더욱 빛나는 스무 살. '스물'(감독 이병헌)은 '병신' 같아도 소중한 스무 살의 감성을 유쾌한 웃음으로 고스란히 담아낸 영화다. 그러나 그 유쾌함 가운데에서도 애잔함을 전하는 인물이 있다. 극중에서 치호(김우빈)와 엮이는 신인 배우 은혜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은혜를 연기한 정주연(26)은 2010년 드라마 '폭풍의 연인'으로 연기를 시작했으며 '오로라 공주'로 얼굴을 알린 배우다. 저예산 영화 '차이나 블루'로 스크린에서도 활약했던 그녀는 '스물'을 통해 첫 상업영화라는 의미 있는 경험을 쌓았다. 고등학교 때부터 한결같이 배우의 꿈을 키워온 그녀에게 '스물'은 보다 대중적인 배우가 될 수 있는 발판이 됐다.

영화 '스물'./NEW



늘씬한 키에 도회적인 이미지, 부드러움과 차가움이 공존하는 외모가 눈에 띈다. 영화 속에서 유독 또래들보다 성숙하게 묘사되는 은혜에 정주연이 캐스팅된 이유다. 정주연 또한 시나리오를 읽으면서 은혜에게 가장 끌렸다. 배우로서 추구해온 캐릭터의 매력이 잘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여자 배우들은 착하고 가녀리거나 예쁜 모습으로 캐릭터가 소모되는 경우가 많잖아요. 저는 조금 극단적일지라도 선명하고 강렬한 캐릭터를 연기하고 싶어요. '다크 나이트 라이즈'에서 캣우먼을 연기한 앤 해서웨이나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의 밀라 요보비치처럼요. 그동안 주로 센 역할을 연기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고요. '스물'의 은혜는 제가 추구하는 캐릭터에 가장 가까웠어요. 대사 한 마디 한 마디가 멋있잖아요. 카리스마도 있고요. 그런 점에 많이 끌렸어요."

배우 정주연./라운드테이블(김민주)



극중 은혜는 실제 자신과 비슷한 신인 배우라는 점에서 공감이 많이 갔다. 다른 점이 있다면 정주연은 은혜와 달리 데뷔 때부터 현재의 소속사인 싸이더스HQ를 만나 안정적으로 배우의 길을 걷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여러 작품을 통해 쌓아온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은혜의 고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유쾌한 영화 속에서 다소 무게감 있는 역할을 맡고 있지만 "은혜는 스무 살답지 않은 피곤함을 보여주는 캐릭터"라는 이병헌 감독의 말을 믿고 편안하게 연기했다.

영화 속 은혜는 유난히 외롭게 느껴진다. 친구들과 술잔을 기울이며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나누는 다른 인물들과 달리 은혜는 연기라는 일에 묶인 채 홀로 있는 인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정주연도 은혜를 연기하면서 외로움을 깊이 느꼈다. "은혜는 치호의 사랑을 듬뿍 받는 인물이라 많은 분들이 부러워해요. 김우빈과 함께 작업했다는 것 때문에도 그렇고요. 하지만 은혜의 감정은 정말 외로웠어요. 결국 영화에서는 은혜가 배우로 성공한 모습이 나오지만 그 뒤에는 쓸쓸함과 공허함이 남아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정주연은 은혜의 외로움이 관객에게 그대로 전해졌기를 바란다.

배우 정주연./라운드테이블(김민주)



조용하고 낯가림이 많은 편이라는 정주연은 고등학교에 올라가기 전 배우라는 꿈을 선택했다. 배우가 지닌 화려함과 환상에 대한 동경 때문이었다. 하지만 학원까지 다니지는 못하고 책으로 연기를 공부했던 그녀는 안양예고에 진학한 뒤 실제로 연기를 해보면서 재미와 매력에 빠져들었다. "어린 나이에 그동안 느낀 감정이 얼마나 되겠어요. 그런데 연기를 통해 여러 가지로 공존하는 감정을 표현하고 그걸 끝냈을 때 울컥하게 되는 감정에서 희열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연기를 계속해야겠다고 마음먹었어요." 그렇게 건국대학교 영화과에 들어간 정주연은 스물한 살 때 지금의 소속사를 만나 매년 한 작품씩 차곡차곡 필모그래피를 쌓아가고 있다.

지금은 배우라는 꿈을 '화려함과 환상'만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결과만큼이나 과정도 중요하다는 생각에서다. 영화 속 은혜와 실제 정주연의 다른 점은 여기에도 있다. "많은 배우들이 그렇듯 저도 연기를 하고 집에 돌아갈 때 공허함과 쓸쓸함을 느낄 때가 있어요. 그래서 배우는 감정기복이 심한 직업이라고 하나봐요. 그런데 결과만을 생각하면 그런 공허함과 쓸쓸함이 채워지지가 않더라고요.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지 많이 고민하는 편이에요. 외로움을 많이 타는 성격이기도 해요. 그래서 평소에는 더 밖으로 나가 사람들을 만나려고 해요." 지금 정주연의 꿈은 행복한 배우다.

"사람들에게 많이 기억되면 당연히 좋죠(웃음). 하지만 그것만으로 행복할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단지 사람들에게 기억되는 것만 바라지 않고 성장하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싶어요. 사람들과 끊임없이 소통할 수 있는 것에서 더 많은 행복을 느끼는 배우가 될 거예요."

배우 정주연./라운드테이블(김민주)



사진/라운드테이블(김민주)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