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음악

[뮤직ON] 세월호 참사 1주기…음악계도 추모 물결 잇따라

뮤지션유니온 '그 봄을 아직 기다립니다' 발매

뮤지션유니온의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 음반 '그 봄을 아직 기다립니다' 앨범 커버. /뮤지션유니온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벌써 일 년이 흘렀다. 각계각층에서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음악인들도 뜻을 모았다.

음악인 노동조합 뮤지션유니온 소속 19개 팀은 '그 봄을 아직 기다립니다'를 13일 발매했다.

정통 민중가요 노래패 출신부터 홍대 라이브 클럽에서 활동하는 팀까지 팝·포크락·메탈·레게·일렉트로닉 등 여러 장르의 뮤지션들이 세월호에 대한 자신들의 이야기를 두 장의 CD에 담았다. 앨범 판매 수익금 전액은 기부할 예정이다.

뮤지션유니온은 "우리가 부른 노래들은 더 이상 떠나보내기 위한 송가가 아니라 간절한 기다림을 담은 연가이며 굳은 다짐의 합창"이라고 설명했다.

앨범은 크게 '분노와 경고의 노래'와 '슬픔과 그리움의 노래'로 나뉜다.

밴드 더문의 리더였던 정문식의 솔로프로젝트 여섯개의 달은 '레프트 인 더 딥(Left In The Deep)'을 노래했다. '깊은 곳에 남겨진'이라는 뜻의 이 곡은 절대 사라지지 않을 희생과 진실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메탈 밴드 해독은 자신들의 기존 발표곡 '자연의 소리'를 개사한 '바다의 소리'를 실었다. 아이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추모하며 각종 의문들을 밝히자는 메시지를 담았다.

프로테스트 포크 밴드 노래하는 나들은 '하얀 나비'라는 곡을 통해 세월호 희생자들의 명복을 빈다.

싱어송라이터 트리키네코는 '1인의 슬픔'을 불렀다. 비극을 겪은 슬픈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여전히 그대로인 세상에 대한 안타까움을 잔잔한 목소리로 표현했다.

음악평론가 배순탁. /MBC



음악평론가 배순탁은 "이 음악들이 유가족들에게 과연 어떤 위안을 줄 수 있을까. 형언할 수 없을 슬픔에 빠져있을 그들에게 음악이라는 것이 과연 다가갈 수나 있을 것인가. 그러나 이 음악들이 세상에 나왔다는 사실 그 자체가 중요하다고 믿는다"면서 "1년이 흐른 지금,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주길 바란다. 여기에 담긴 노래들은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만들어진 타임캡슐이다. 음악적인 성취 여부와 무관하게 이 앨범이 지닌 가치다"라고 평했다.

뮤지션유니온은 오는 26일 오후 6시 서울 마포구 홍대 클럽 프리버드2에서 공연 '그대 돌아오라'도 진행한다.

다른 곳에서도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추모하는 공연이 이어진다.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고(故) 박수현 군 등이 활동한 교내밴드의 학생들이 뮤지션과 힘을 합쳤다. 이들은 박 군의 생전소망이었던 '멤버들과 20회 공연하기' 두 번째 공연에 나선다.

오는 18일엔 경기 안산문화예술의전당 해돋이극장에서 김창완밴드, 말로 등이 참여한 '리멤버 포에버' 공연이 열린다. 19일엔 서울 마포구 서교동 롤링홀에서 '열일곱살의 버킷리스트'가 진행된다. 3호선버터플라이, 가리온,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요조 등이 함께한다.

가수 김장훈. /공연세상



가수 김장훈은 세월호 유가족의 소망 들어주기 콘서트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김장훈은 대학생으로 구성된 세월호 힐링대와 함께 유가족들의 소망 신청을 받아 지역별로 소망콘서트(가제)를 열 계획이다.

그는 "오랜기간 공부하고 연구한 결과 지역별로 치유함이 옳은 길이라고 판단했다. 한 지역에 희생자가 10명이 있다면 가족친지들은 100여명 쯤 될 것이다. 그렇다면 그 지역 전체가 트라우마 상태에 빠진 것과 마찬가지"라며 "유가족들의 소망이 접수되면 대학생 힐링단이 지역별로 유가족과 만나 떠난 이의 소망과 꿈을 함께 찾을 것이다. 이미 많은 신청을 받았는데, 세상을 떠난 한 아이가 시인을 꿈꿨다고 한다. 그 아이의 자작시를 친한 친구나 형제가 낭독해주는 방식으로 위로해주고 싶다"고 밝혔다.

김장훈은 세월호 1주기를 맞은 이번주 동안 SNS를 통해 대학생 봉사대와 가족들의 소망을 접수받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