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6일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과 관련해 "그간 견지해왔던 은산분리 규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수십년간 대면으로만 허용되던 실명확인 방식 관행도 이번 기회에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오후 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한국형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방안 세미나'에 참석해 "지금이야말로 제대로 된 '한국형 인터넷전문은행'이 탄생할 수 있는 적기(適期)이자, 호기(好期)"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번이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 마지막 시도가 되길 바란다"며 "온라인을 통한 금융서비스가 날개를 활짝 펼 수 있도록 제도와 규제를 재설계하고 걸림돌은 적극 치우겠다"고 강조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지난 2002년과 2008년 두차례 도입에 실패한 바 있다.
임 위원장은 계좌개설시 비대면으로 실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문제에 대해 "인터넷전문은행 도입 논의를 하면서 촉발됐지만 모든 금융회사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라며 "이른 시일내에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비대면 거래시 있을 수 있는 부작용도 최소화되도록 보완방안도 함께 고민중에 있다"며 "비대면방식은 창구에 가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한 측면도 있지만, 대면하는 방식보다 본인확인 과정은 더 까다로워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실효성이나 지속가능성 등 일각의 우려에 대해선 "우려되는 부작용은 최대한 줄일 수 있는지 고민하고 하나하나 결정해 나가야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미 인터넷뱅킹이 잘 되어있어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 안주해 핀테크 물결을 외면하다보면 세계 금융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며 "해외의 성공사례를 면밀히 살펴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패사례의 원인도 분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의견수렴을 거쳐 6월 중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을 위한 정부안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