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게이트] "경남기업 워크아웃 막아 달라"…압력 의혹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정치권 로비에 이어 금융권을 대상으로도 압력과 청탁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성 전 회장이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신분이었기 때문에 금융권에서 접촉을 피하기 어려웠을 거라는 것. 이들이 성 전 회장의 청탁 요구를 받아 주는 과정에서 금융권 피해도 적지 않아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성 전 회장의 검찰 수사가 정관계에 이어 금융권으로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경남기업이 3차 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직전인 2013년 10월 말 금융 감독 당국을 포함한 금융권 인사들을 접촉해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성 전 회장은 당시 금융감독원은 물론 채권은행의 최고경영자급을 대상으로 면담이나 전화통화를 통해 자금 지원 및 경남기업에 대한 여러 협조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남기업에 돈을 빌려준 은행에는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농협,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이 포함돼 있다. 성 전 회장은 금감원 기업구조조정 담당 국장을 의원회관으로 부르기도 했다. 성 전 회장이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이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거라는 전언이다.
경남기업-채권단-감독당국 간 3각 관계 의혹도 불거졌다. 금감원이 경남기업 유동성 위기 과정에서 시중은행들에 900억원 상당의 특혜 대출을 지시했다는 것.
최근 감사원 감사에서도 워크아웃 과정에서의 의혹이 제기됐다. 감사원은 금감원이 지난해 1월 신한은행으로부터 경남기업 실사 결과를 중간 보고받는 자리에서 대주주인 성 전 회장의 의견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처리하라고 요구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실사를 맡은 A회계법인과 신한은행이 대주주 지분의 무상감자를 실시해야 한다고 보고했으나 금감원이 이를 거부한 채 자금지원을 요구하는 성 전 의원 측 의견을 받아들이라고 압력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의혹의 핵심이다.
실제 지난해 2월 경남기업은 채권단으로부터 무상감자 없는 1천억원 출자전환과 3800억원의 신규자금 수혈을 포함해 6300억원대 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금감원은 이에 대해 사전 논의는 없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