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목할 책] 공동묘지에 사는 남자…'죽음에서 본 삶'과 '삶에서 본 죽음'

◆ 공동묘지에 사는 남자

문학수첩/ 글 피터 S. 비글·옮긴이 장윤조

'공동묘지에 사는 남자(피터 S. 비글, 문학수첩)' 표지/문학수첩 홈페이지



죽음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삶에 대해 얘기하는 소설이다. 이 책의 핵심은 등장인물들이 삶과 죽음을 오가며 생각한 바를 말하는 철학적인 대화다. 살았지만 죽음을 선택해 공동묘지에 살고 있는 주인공과 죽었지만 삶을 갈망하는 유령들의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많은 물음을 던진다.

주인공 조너선 리벡은 공동묘지에 살며 영묘에서 자고 까마귀가 물어다 주는 음식으로 식사를 해결하고 유령과 대화하며 시간을 보내는 남자다. 정신 나간 사람처럼 보이겠지만 그는 지극히 정상이다. 세상에 상처 받고 스스로를 공동묘지 안에 가둔 사람일 뿐이다.

그는 어느날, 삶을 고집하며 기억을 잃지 않으려는 유령 두명을 만나 친구가 된다. 묘지를 방문했던 클래퍼부인의 눈에 띄어 살아 있는 친구도 생긴다. 이들은 조너선을 묘지 밖으로 나갈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아간다.

하지만 조너선 리벡은 두렵다. 그는 19년간 세상과 떨어져 공동묘지에 숨어 살았다. 그는 "무서워요! 굶는 것도 누구와 이야기 하는 것도 두렵지 않지만, 제가 쓸모 없고 무력한 존재라는 생각은 도저히 못 견디겠어요. 저의 존재도 분명히 어떤 의미가 있을 거에요. 만약 그런 게 없다면 살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라고 말한다.

그는 어떻게 '죽음'이 아닌 '삶'이 존재하는 묘지 밖 세상으로 나갈 수 있게될까?

이 소설은 '휴고상''네뷸러상''잉크팟상' 수상에 빛나는 '라스트 유니콘'의 작가 피터 S. 비글의 데뷔작이다.

작가는 자신이 어린 시절 살던 브롱크스에 위치한 대규모 공동묘지를 떠올리며 소설의 무대를 세웠다. 하루는 어머니와 함께 묘지 안을 산책하다가 "이런 곳이라면 여기서 살 수도 있겠다"고 이야기했는데, 이 대화의 내용을 시작으로 소설을 탄생시키게 됐다.

삶과 죽음을 통해 그 사이에 있는 인생을 고민하게 하는 소설이다. 공동묘지라는 배경이 애잔하고 쓸쓸하기만 할 것 같지만, 생동감 있고 사랑이 넘치기도 하다는 것이 반전 매력으로 다가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