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해 쓸 수 있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8일 출시하며 구글의 '파이'와 타경쟁사와의 다른 차별점을 제시했다.
최근 구글이 이동통신시장에 진출하면서 선보인 데이터 중심 요금제 '파이(Fi)'를 선보인 가운데 7일 KT는 음성과 문자를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하면서 데이터 이용량을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 요금제'를 8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또한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도 조만간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KT는 7일 서울 광화문 KT 본사에서 열린 마케팅 기획 기자 간담회에서 "구글의 프로젝트 파이 요금제와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있다"며 "구글 파이와 다르게 KT는 단말기 지원이 함께 하기 때문에 강점이 있고 기가당 데이터 요금이 더 저렴하다"라고 밝혔다.
통신 3사가 모두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는 상황에서 KT만의 차별성에 대해 "사업자가 처한 여러 상황에 따라다르겠지만 KT의 경쟁력은 '데이터 밀당' 기능과 4만9900원 이상 요금제에서 '올레티비 모바일'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 차별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올레의 밀당 요금제는 기존 KT에서 제공하던 데이터 이월하기에 더해 다음 달 데이터를 최대 2GB까지 당겨쓸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타사와의 차별점을 두는 이유에 대해선 "특허출원한 기술이라 타사에서 개발이 어려울 것"이라 전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남규택 KT 마케팅부문 부사장은 "음성·문자 사용량과 데이터 사용량이 비례하는 기존 요금제는 사용자에게 비효율적인 요금제라 판단"했다며 "음성통화와 문자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제공하면서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고객 편의의 요금제를 만들었다"며 데이터 중심 요금제의 포문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