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스마트폰 제조사 점유율 전쟁, "판매 리베이트 지원으로 점유율 조절"
삼성전자와 같은 스마트폰 제조사의 단말기 판매 촉진을 위한 우회적 보조금 즉 리베이트가 여전히 암암리에 성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6일 익명을 요구한 통신업계 고위 관계자 A씨는 스마트폰 판매 관행에 대해 "국내 단말기 유통 시장의 기형적 구조에서 불법리베이트가 기인한 것"이라며 "국내 제조사들의 '장난질'로 단말기 공짜대란이 점조직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나라의 단말기 유통구조는 이동통신사의 직영점과 대리점, 판매점으로 이뤄져있는데 자체 사업자로 운영되는 대리점과 판매점은 문자나 온라인 반짝이벤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단말기보조금을 살포해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대리점에서 판매점을 꾸릴 수 있는 구조이고 판매자가 되는 진입장벽이 낮아 이통사가 판매자 집계가 어렵고 복잡한 구조로 정착돼있다.
이런 유통 구조상의 문제를 투명하게 하기위해 '단통법'이 시행되면서 공시지원금을 공개하고 리베이트 금액은 최대 30만원까지만 지원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이 생겼다. 하지만 여전히 법망을 피해 공짜폰 대란은 뿜뿌 등의 스마트폰 커뮤니티 등 관련 고객들이 많이 방문하는 홈페이지상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반짝이벤트' 등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통신업계의 분석이다.
대리점에서 진행 중인 '선착순 20명 한정' 판매 이벤트
그 뒷 배경에는 제조사의 리베이트가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A씨는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제조사들이 단말기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경쟁사의 신제품이 나올 때 단말기 리베이트를 한시적으로 높여 경쟁사 제품 쏠림 현상을 완화시키거나 신제품이 나오기 앞서 이전 시리즈 제품의 리베이트를 높게 책정해 줘 경쟁사 제품의 판매율을 끌어 내린다"고 설명했다.
A씨는 "예컨대 LG전자의 G4가 출시되면 삼성은 기존의 갤럭시S5 등 시리즈를 통신사에게 물량을 제공할테니 통신사도 지원금을 높여 판매를 유도하자고 제안한다"며 "대리점에게 경쟁사보다 리베이트를 두 배 올려줄테니 주력해서 판매해달라는 암거래도 이뤄진다"고 덧붙였다.
또한 고가의 출고가를 공시하지만 판매량 상승을 위해서는 지원금과 리베이트가 있어야 소비자가 반응해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전략적인 판단 하에 리베이트 값을 올렸다 내렸다하면서 통신시장을 흔든다는 것이다.
A씨는 "최근 삼성카드에서 진행한 갤럭시S6 시리즈 이벤트가 일례이다"고 전했다.
지난달 30일 부터 삼성카드에서 1000명에 한해 KT에 가입하는 조건으로 갤럭시S6 시리즈를 구입하면 매달 통신요금을 1만5000원 깎아주는 행사를 진행했다.
이 행사는 그간 정체됐다던 이통시장의 흐름과는 대조적으로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행사가 시작된 지 일주일도 안 돼 마감될 정도로 활기를 띠었다.
이 같은 사례는 우회적으로 지원금을 제공해 단통법 규제에서도 벗어나고 단말기 판매를 촉진할 수 있어 제조사에게는 남몰래 수익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 같은 리베이트가 있다는 첩보는 들었지만 현실적으로 간헐적인 점조직 형태라서 적발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이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감독을 철저히 할 것"이라고 전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