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스타인터뷰] '차이나타운' 엄태구 "정답 없는 연기, 늘 쿵쾅거리죠"

배우 엄태구./라운드테이블(이완기)



많은 배우들이 말한다. 연기에는 정답이 없다고. 치열하게 고민하며 카메라 앞에 서지만 정작 스크린에 담긴 자신들의 모습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엄태구(31)는 그런 연기의 고민을 "쿵쾅쿵쾅"이라고 표현했다. "이게 참 어려워요. 답이 없으니까 일단 하기는 하죠. 여러 가지 시도를 해보지만 답은 없잖아요. 그래서 끝도 없이 계속 '쿵쾅쿵쾅' 하는 느낌이에요. 어떤 작품이든 똑같은 것 같아요." 그런 쿵쾅거리는 순간 속에서 빛나는 한 순간을 잠시나마 발견할 때, 엄태구는 비로소 안도한다. 물론 관객들이 그 장면을 어떻게 바라볼지는 의문으로 남겨놓은 채 말이다.

영화 '차이나타운'./CGV 아트하우스



'차이나타운'(감독 한준희)에서 엄태구는 엄마(김혜수)의 오른팔이자 일영(김고은)을 묵묵히 지켜주는 우곤 역을 맡았다. 출연 분량이 많지는 않지만 선 굵은 외모와 한번 들으면 쉽게 잊히지 않는 깊이 있는 목소리로 존재감을 확실하게 남겼다.

"우곤은 남자가 봐도 멋있었어요. '모래시계'의 이정재 선배 생각도 났고요. 처음 시나리오에서는 우곤이 치도(고경표) 패거리에 맞서 일영을 구하고 죽는 설정이었거든요. 한번쯤은 해보고 싶은 인물이었죠."

영화 속 우곤은 많은 것이 숨겨져 있다. 엄마와의 첫 만남은 물론 엄마의 오른팔로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영화는 우곤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엄태구는 우곤으로 살기 위해 영화가 말하지 않는 것들을 수없이 상상하고 또 상상했다. 그때마다 엄태구의 마음은 고민들로 인해 "쿵쾅쿵쾅"거렸다.

배우 엄태구./라운드테이블(이완기)



엄태구는 "쿵쾅거리면서 찾아간 답이 만족스러웠던 적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다만 한 순간 다행스러운 느낌이 드는 장면을 포착할 때는 있다. 눈 밑에 상처가 난 일영을 바라보는 우곤의 눈빛, 쏭(이수경)에게 일영이 어디 갔냐고 물으면서 바지주머니에서 손을 빼던 모습, 그리고 일영과의 마지막 장면에서 우곤이 "엄마 미워하면 안 돼"라고 말한 뒤 "미안해"라고 말하기까지의 아주 잠깐의 순간. 엄태구가 '차이나타운'에서 꼽은 인상적인 장면들은 실제 영화 속에서도 우곤의 존재감이 가장 빛나는 장면들이다.

"촬영하다 보면 '살아있는 느낌이 나온 것 같다'는 기분이 충동적으로 들 때가 있어요. 나중에 그 장면이 완성된 걸 보면 비슷한 만족감을 느끼죠. 물론 관객의 반응에 대한 궁금증과 부담감은 남아요. 그건 배우를 하기 위해서는 평생 가져가야 할 고민이겠죠."

배우 엄태구./라운드테이블(이완기)



19세 무렵 교회 촌극을 통해 연기를 접한 엄태구는 엑스트라를 시작으로 단역과 조연을 거치면서 차근차근 배우의 길을 걸어왔다. 단편영화와 장편영화, 독립영화와 상업영화, 그리고 미니시리즈 드라마와 단막극 등 영역에 상관없이 다양한 작품들로 차곡차곡 필모그래피도 쌓았다. 지난해 형 엄태화 감독이 연출한 '잉투기'의 주연을 맡으면서 류승완 감독-류승범에 이은 제2의 '감독-배우' 형제로 영화계 안팎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런 관심 속에서도 엄태구는 영화 '인간중독'과 드라마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하녀들' 등에 출연하며 변함없는 속도로 자신의 커리어를 만들어왔다.

낯가림이 심한 편인 그에게 한때 배우를 그만둬야 할지 고민하던 순간도 있었다. 그런 힘든 시기를 버틸 수 있었던 것은 "무작정 열심히 하는" 타고난 성격, 그리고 종교에 대한 믿음 덕분이었다. 엄태구가 롤모델로 꼽는 배우는 뜻밖에도 김혜자다. 그만큼 편안한 연기를 하는 배우가 되고 싶다는 뜻에서다.

"제 연기에 만족하는 작품을 만날 수 있을 거라는 건 불가능하다는 걸 알고 있어요. 그럴 때 위로가 되는 건 선배 배우들의 말이에요. 김혜자 선생님이 '연기가 잘 안 되면 집에 가서 운다'고 말할 때, 저런 선생님들도 나처럼 힘들어 한다는 사실이 큰 힘이 되거든요."

배우 엄태구./라운드테이블(이완기)



사진/라운드테이블(이완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