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LGU+, KT 이어 데이터 요금제 선보인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KT의 '데이터 선택 요금제'와 비슷한 요금제를 곧 공개할 예정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이르면 14일, SK텔레콤은 내주 초반쯤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요금제를 각각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회사는 이번 주 초반이라도 KT와 유사한 요금제를 내놓고 가입자를 모집해 KT의 선점 효과를 최소화하려 했지만 요금제 세부 내용을 다듬고 관할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와 협의하는 과정이 길어져 아직 새로운 요금제를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동영상 시청 등 '비디오 LTE' 시대를 맞아 데이터 사용량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 이를 반영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준비해 왔다"며 "음성 무제한, 데이터 중심의 새로운 요금제를 이르면 이번 주 초반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LG유플러스가 금명간 새로운 요금제를 미래부에 신고한 뒤 14일께 소비자에게 출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무선 통신 부문에서 지배적 사업자이기 때문에 요금제 출시 때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SK텔레콤은 관련 부처와의 협의가 아직 마무리되지 않아 요금제 발표를 미루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최대한 빨리 내놓고 싶은 심정이지만 미래부와 아직 협의 중"이라며 "시기는 특정할 수 없으나 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이르면 오는 19일께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중심으로 이통 3사의 불꽃튀는 경쟁이 다음 주 중반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데이터 선택 요금제를 먼저 내놓은 KT는 내심 경쟁사들의 요금제 발표가 좀 더 늦춰지기를 기대하는 한편 경쟁사들이 내놓을 요금제의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KT의 한 관계자는 "보험 업종의 경우 비슷비슷한 상품이 나오는 걸 방지하기 위해 특정 회사가 새로운 상품을 내놓으면 경쟁사는 상당 기간 유사 상품을 내놓지 못한다는 규정이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며 하나의 요금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마련인데 시차를 두지 않고 비슷한 요금제가 나오는 건 바람직한 일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가 내놓을 데이터 중심 요금의 전체적인 구조가 KT의 요금제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KT의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출시 나흘 만에 가입자 10만 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