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6·15와 8·15, 순수 교류행사로 치를 수 없어"…무산 시사
북한은 남북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6·15와 8·15 광복 70주년 행사와 관련된 장소와 내용을 바꿀 수 없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행사 내용에서 '정치색'을 배제하고 문화, 체육 등 순수 민간 교류 행사로 치르자는 남한 정부의 입장을 따를 수 없다고 선언하면서 무산 가능성을 내비쳤다.
16일 6·15 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대변인은 담화를 통해 "북과 남, 해외 민간단체들이 합의한 공동행사 장소와 내용을 남측 당국의 강요에 의해 바꾼다는 것은 그 누구도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대변인은 "6·15는 서울, 8·15는 평양으로 이미 행사 개최 장소를 합의했다"면서 "남한 정부가 6·15 공동행사는 평양에서, 8·15 공동행사는 서울에서 하든가 아니면 두 행사 모두 서울에서 하자고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회의 마지막까지 그것을 강요해 행사 장소 문제는 물론 다른 문제들도 합의를 보지 못하게 했다"며 "공동선언 발표 15돌까지 불과 한 달 정도밖에 남지 않은 지금 전민족적 범위의 공동행사 준비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또 6·15 공동선언 15주년과 8·15 광복 70주년 기념 공동행사의 내용에 대해 "남한 정부가 주장하는 대로 순수한 예술, 체육, 문화교류의 공간으로 만들 수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북과 남, 해외가 모여 진행하는 통일행사는 명실 공히 우리 민족끼리의 기치 밑에 북남 관계개선과 조국통일을 추동하는 전민족적인 통일 회합, 민족단합의 대축전으로 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6·15와 8·15 공동행사 개최 장소와 내용 등을 놓고 남북 간 이견 차가 커 남북 민간단체가 추진해온 공동행사가 무산될 가능성이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