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데이터요금제 SKT "고심", KT "수혜"…음성·문자 이용이 관건

SKT 데이터 요금 출시 지연 이유 …"음성·문자 사용비중 높아 매출 하락우려" 관측



이번 주 초 쯤 출시할 것으로 알려진 SK텔레콤의 데이터 요금제가 출시를 앞두고 손익 계산으로 내부 진통 중 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일찍이 데이터 요즘제의 포문을 열었던 KT는 요금제의 최대 수혜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음성과 문자를 주로 사용하는 2G와 3G 가입자 비중이 타사보다 높아 음성·문자를 무료로 제공하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면 단기 실적에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SK텔레콤의 이동전화 가입자 2607만여명 가운데 33.3%에 해당하는 867만여명이 2G, 3G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T 가입자의 420만여명(27.8%), LG유플러스 가입자의 235만여명(11.4%)이 2G 혹은 3G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해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SK텔레콤은 스마트폰 사용자 비중 또한 낮은 편이다. SK텔레콤 가입자 가운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은 1975만여명(75.8%)으로 이동통신 3사 가운데 비중이 가장 낮다. KT는 가입자 중에는 1264만여명(82.9%), LG유플러스는 가입자 중에는 886만여명(80.3%)이 각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G와 3G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높고 스마트폰 사용자 비중이 낮은 것은 음성과 문자를 주로 사용하는 가입자 비율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LTE 서비스나 스마트폰이 아니면 데이터 사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타사와 비슷한 월 2만원대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할 경우 음성과 문자를 주로 사용해온 자사 충성 고객의 가입자당 평균수익(ARPU)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반면 일찍이 데이터 중심 요금제의 출시를 알렸던 KT는 이번 요금제의 가장 큰 수혜자라고 평가받고 있다.

앞서 8일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남규택 KT 마케팅부문 부사장은 "LTE가입자 1100만명 중에서 68%(약 748만여명)가 요금제 전환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더해 KT의 3G 가입자(420만여명)들도 데이터 요금제로의 전환이 기대될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바라보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 출시 이후 2G, 3G 가입자들의 LTE 전환을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KT가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3G 이용자의 유입을 기대하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음성 통화 위주 고객인 2G 가입자가 없어 상대적으로 SK텔레콤 만큼 데이터 요금제의 가입자당 평균 수익이 하락할 위험성이 낮다. 또한 3G 이용자들 입장에서 음성통화에 대한 부담이 없고 데이터도 활용할 수 있어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마다할 이유가 없어졌다.

3G 이용자의 대부분은 5만4000원의 3G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다. LTE 요금제로 바꾸려 해도 기존 LTE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는 8만원대의 정액요금을 내야만한다. 하지만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출시되면서 가입자들은 5만원대로 LTE 데이터 무제한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통신비 부담을 덜어준 셈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