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메르스'의 다섯가지 특성 "치료약 없고 전염성 약해"치사율 40%



'메르스'의 다섯가지 특성 "치료약 없고 전염성 약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메르스) 세 번째 국내 감염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 질병의 5가지 특성을 요약한 과거 외신 기사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 NBC 방송은 지난해 5월 '메르스란 무엇인가, 이 미지의 바이러스와 관련된 5가지 사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미국 내에서 첫 환자가 발견된 직후였다.

NBC는 메르스가 2012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질환이라는 점을 첫 번째 특징으로 꼽았다. 메르스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메스르 코로나바이러스(MERS-CoV)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먼 친척뻘이라는 소개도 덧붙였다.

메르스의 두 번째 특징으로는 '치명적'이라는 점이 꼽혔다. NBC는 당시 기사에서 메르스 감염자의 약 3분의 1이 사망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유럽질병통제청의 최근 자료에는 NBC가 당시 치사율을 다소 과소평가했다는 점이 드러난다. 올해 5월까지 메르스에 감염된 사람은 1천142명으로 이 중 465명이 목숨을 잃었다. 치사율은 40.7%다.

'치료약이 없다'는 점도 메르스의 특징으로 꼽혔다.

치명적인 질병이지만 병의 원인을 직접 제거하는 치료약이나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병원에서는 환자 각자의 면역력으로 바이러스를 이겨낼 수 있도록 돕는 방식으로 치료한다.

'전염성이 약하다'는 점 역시 메르스의 특징이다. NBC는 "감염된 사람들의 역학 조사 결과 아주 가깝고 오래 접촉한 사람들끼리만 전염됐다"고 보도했다. 같이 비행기를 탄 정도로는 감염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NBC는 "격리 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기만 하다면 의료진의 감염 확률도 현저히 낮다"는 감염내과 전문의의 발언을 덧붙였다.

NBC가 꼽은 메르스의 다섯 번째 특징은 '전파된 경로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감염자 중 낙타 시장 또는 낙타 농장을 방문하거나 낙타 체험프로그램 참여하는 등 낙타와 접촉한 사례가 다수 보고돼 낙타와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특정 환자들은 낙타와 전혀 접촉하지 않았는데도 메르스에 감염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세 번째 국내 감염자가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세 번째 감염자는 첫 감염자와 같은 병실을 쓰던 70대 남성으로, 가족이 아닌 첫 번째 2차 감염자다. 앞서 이날 국내에서 첫 발생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를 간호하던 부인도 같은 병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바레인에 다녀온 후 메르스에 걸린 것으로 확인된 환자(68· 남)의 아내도 호흡기 증상이 있어 유전자 진단검사를 한 결과, 양성으로 판정됐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이 여성을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내에서 격리 치료 중이다.

메르스는 2012년 4월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해 이 지역을 공포로 몰아 넣은 바 있다. 지난해 5월까지 세계적으로 1142명이 메르스에 걸려 40%인 465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조사돼 방역당국이 긴장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의 추가 유입과 국내 추가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감염병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다. 관련부서 단위 대응에서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질병관리본부장이 직접 지휘하는 체계로 전환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